김정관 “미, 3500억 달러 전액 현금 투자 요구하는 건 아니다”

입력 2025-10-21 00:08 수정 2025-10-21 00:22
한미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던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0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한·미 관세협상에서 미국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를 전액 현금으로 요구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20일 밝혔다.

김 장관은 방미 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미국이 대미 투자금을 전액 현금으로 요구하느냐는 질문에 “거기까지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외환시장에 부담을 주는 선에서 해서는 안 되겠다는 공감대가 있어 그것을 바탕으로 이번 협의가 준비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또 “양측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협상을 한번 만들어보자는데 일치감이 있다”면서 “그 시점보다는 과연 우리 국익에 맞는 타이밍까지 왔느냐가 더 우선이고, 가능한 범위 내를 찾기 위해서 마지막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과 함께 지난주 일제히 미국을 방문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대미 협상단은 투자패키지 내 현금 비중을 낮추는 데 주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대출·보증 비중 증가와 연간 최대 300억 달러 분할 투자 등을 미국이 얼마나 수용하느냐에 협상의 성패가 달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7월 관세협상에서 투자금의 약 5%만 지분 투자로 하고 나머지는 보증과 대출로 채우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미국은 먼저 협상을 타결한 일본처럼 미국이 용처를 정하면 45일 내 자금을 특수목적법인(SPV)에 납입하는 방식을 요구해왔다.

정부는 APEC 전 남아있는 쟁점을 해소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투자펀드의 투자처를 누가 정하느냐를 놓고도 막판 기 싸움이 벌어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낙관도 비관도 아닌 상황”이라며 “미국과의 막판 쟁점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전날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대부분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면서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남은 쟁점이 한두 가지가 있어 각 부처와 심도 있게 검토해서 추가로 더 협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대미투자펀드의 자금조달 방식으로 거론되는 ‘통화 스와프’에 대해 일축했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은과 미 재무부 간 통화 스와프 방안에 대해 “검토한 적이 없다”며 “통화 스와프는 단기 유동성이 목적이고 장기 투자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게 아니다”라고 답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이의재 최승욱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