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4건 중 1건은 이전 최고가를 넘어선 ‘신고가 거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 벨트’ 지역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높았다. 규제지역으로 신규 지정된 경기 지역 중 일부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다수 이뤄졌다. 10·15 대책은 이 같은 상승 압력의 확산에 대응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 중 신고가 거래 비중은 24.1%로 집계됐다. 6·27 대출규제를 촉발했던 지난 6월 신고가 비중(22.9%)보다 1.2% 포인트 높다. 지난달 이뤄진 거래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임을 고려하면 이 비중은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지난달 부동산 시장은 6·27 대출규제에 적응한 수요자들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며 요동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7747건이었다. 신고 기한이 열흘가량 남은 만큼 8000건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지난달보다 거래량이 많았던 적은 2024년 7월(8876건), 2025년 3월(9646건), 6월(1만1021건) 등 3번에 불과하다.
신고가 거래도 속출했다. 서초구는 거래 두 건 중 한 건(54%)꼴로 신고가 매매가 이뤄졌다. 강남구(42%), 용산구(35%), 송파구(32%)의 신고가 거래 비중도 높은 편이었다. 최근 가격이 급등했던 마포구(44%), 성동구(43%), 광진구(50%), 동작구(36%), 강동구(37%) 등에서도 한 달 새 신고가 비중이 10% 포인트 안팎으로 증가했다.
경기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보였다. 과천, 성남 분당구, 하남 등 강남 접근성이 좋은 지역들이 신고가 증가세를 주도했다. 지난달 기준 과천(57%), 성남 분당구(43%), 성남 중원구(23%), 성남 수정구(21%) 등에서 신고가 비중이 두 자릿수로 나타났다. 최근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경기 12개 지역의 9월 평균 신고가 비중은 14.3%로 6월(10.6%)보다 높았다. 경기 비규제지역의 2.2%와 대조된다.
공급 계획의 실행력과 정책 일관성이 향후 시장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이번 조정은 가격 수준뿐 아니라 거래 흐름과 수요 이동 경로, 심리 확산 가능성까지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며 “수요 조절 중심의 대응만 지속되면 시장 불안심리와 ‘포모’(FOMO·소외에 대한 공포)가 다시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