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대통령 제1부속실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리스크가 부각된 시점마다 휴대전화를 교체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민의힘은 이재명정부 첫 국정감사가 시작됐던 지난 13일에도 김 1부속실장이 휴대전화를 두 차례 교체했다며 국감에 출석해 해명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휴대전화 약정이 끝나 정상적으로 기기변경한 내역이라며 “헛발질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20일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KT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내역에 따르면 김 1부속실장은 이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2021년 10월 10일 이후 다섯 차례 휴대전화를 바꿨다. 박 의원은 “교체시기를 확인해보니 대장동 사건, 대북송금 사건 등 이 대통령의 주요 사법리스크 고비와 겹치는 부분이 발견됐다”며 “증거인멸을 위한 행위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김 1부속실장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의 구속 결정일인 2021년 10월 19일 휴대전화를 교체했다. 두 달여 후인 2021년 12월 27일 기기를 다시 교체했는데, 당시는 유한기 전 개발사업본부장(2021년 12월 10일)과 김문기 전 개발1처장(2021년 12월 21일)이 사망한 직후였다고 박 의원은 설명했다.
김 1부속실장은 2023년 9월 9일에도 기기를 교체했다. 박 의원은 “이 대통령이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으로 검찰에 출석한 날이었다”며 “같은 달 7일에는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대북송금 사실을 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는 진술을 번복했다”고 말했다. 또 국감 시작일이었던 지난 13일 오전 휴대전화를 교체했다가 9분 만에 다시 원래 기기로 변경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김 1부속실장은 십수년간 쓰던 번호를 바꾼 적이 없다”며 즉각 반박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이번 기기변경은 약정이 끝나 통신사 권유로 신청한 지극히 정상적인 절차였다”며 “바쁜 일정 탓에 새 기기를 받아놓고 개통조차 못했다”고 말했다. 9분 만의 연속 교체 기록에는 “기기변경 처리 과정에서 생긴 전산 기록일 뿐”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새 기기를 받았을 때 남는 기록일 뿐 실제 개통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을 향해 “증거인멸이 일상인 정당이다 보니 지극히 평범한 기기변경마저 자신들 경험에 비추어 증거인멸이라 단정 짓는 것”이라며 “기기변경 과정에서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작업한 내역인지는 모르겠지만 창피한 헛발질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정우진 성윤수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