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김건희 특검이 20일 대안 노선을 제시했던 용역업체 임원을 불러 조사했다. 특검은 윤석열정부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의 ‘자녀 학교폭력 무마 의혹’에 대해서도 강제수사에 착수하며 의혹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
특검은 이날 경동엔지니어링 김모 상무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김 상무는 2022년 국토교통부로부터 고속도로 용역을 맡아 종점부 변경 작업에 개입한 것으로 지목된 인사다. 특검은 김 상무가 사업 과업수행계획서를 일부 누락하고, 다른 검토안 없이 단일 대안을 국토부에 제시한 것으로 의심한다. 해당 의혹은 국토부가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종점을 양서면에서 김 여사 일가 땅이 소재한 강상면으로 변경해 특혜를 줬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경동엔지니어링은 2022년 3월 29일 용역 계약 체결 직후인 4월 11일 기존 예비타당성조사안이 아닌 강상면 종점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다른 용역업체도 경동엔지니어링이 원안보다 대안이 타당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미리 준비해 왔다고 진술한 상황이다. 특검은 당시 용역업체들과 소통했던 김모 국토부 서기관으로부터 “인수위 파견 국토부 공무원이 전화해 ‘강상면 종점안으로 대안 노선을 검토해 보라’고 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특검은 김 서기관이 용역업체에 갑작스럽게 강상면 대안 검토를 지시한 배경에 윗선이 개입한 것으로 보고 추적 중이다. 특검은 김 서기관이 언급한 ‘인수위 파견 공무원’을 김모 과장으로 특정하고 지난 16일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학연이 있던 김 과장과 김 상무가 강상면 대안을 미리 준비한 것은 아닌지 의심한다.
한편 특검은 윤석열정부 김승희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의 자녀 학폭 무마 의혹과 관련해 성남교육지원청과 가평교육지원청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이 의혹은 김 여사가 2023년 7월 김 전 비서관 자녀의 학폭 사건을 무마하려고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게 핵심이다.
당시 경기도 성남의 한 초등학교 3학년이던 김 비서관 딸은 같은 학교 2학년 여학생을 리코더와 주먹 등으로 여러 번 때려 피해 학생은 각막이 손상되는 등의 상해를 입었다. 김 전 비서관 딸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강제전학 처분에 1점 모자란 15점을 받아 강제전학을 면했다. 김 여사는 학폭 사건이 발생한 직후인 2023년 7월 20일 장상윤 당시 교육부 차관과 8분여간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 김 여사가 학폭 무마에 모종의 역할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재현 박성영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