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 소위 ‘후진국형 산재’라 불리는 재래형 중대재해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해 연말까지 매주 회의를 열고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또 지난 17일 폭발 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한 울산 남구 소재 SK에너지 울산공장에 대해 이날 근로감독관과 안전보건공단 전문가 27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감독팀을 투입했다.
노동부는 20일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오영민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재래형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이 참석해 일선 현장 상황을 보고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대재해 사고 사망자 589명 중 추락(227명), 끼임(66명), 부딪힘(50명) 같은 기본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 가능한 재래형 사고가 약 60%를 차지했다.
노동부는 “연말까지 상황점검회의를 매주 개최해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및 지역별 기획·특별감독 등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시기별 사고 발생 위험 등을 고려한 집중점검주간 운영, 세부 업종·유형별 타깃 감독 등을 실시하는 등 중대재해 감축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투입된 노동부 감독팀은 사고가 발생한 공정뿐 아니라 SK에너지 울산공장 전체를 대상으로 향후 2주간 특별감독에 준하는 고강도 근로감독을 벌인다. 안전보건관리조직, 작업허가 승인 절차, 협력업체 안전관리, 위험성 평가 등 안전관리 실태 전반을 면밀히 들여다봄으로써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노동부는 또 정비작업에 대한 작업중지를 명령하고 15명의 전담 수사팀을 구성해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신속하고 엄정히 수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그에 따른 책임을 엄히 묻고, 사고 원인의 근본적인 개선을 위한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