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올 연말 국토교통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 전수조사 및 대상지 선정을 앞두고 농생명과 금융 특화를 전략으로 내세웠다.
정부는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한 국정과제에 따라 2025년 말까지 이전 대상기관 후보군을 확정하고, 2026년에는 로드맵을 제시해 2027년부터 기관 이전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전북도는 농협중앙회와 한국투자공사(KIC) 등을 포함한 농생명과 자산운용 금융 분야를 핵심 축으로 삼아 맞춤형 유치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전북혁신도시 내 기존 기관과 연계해 산업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연구용역을 통해 농생명·금융·미래전략산업·전통문화 분야에서 이전 유치 대상 주요 기관 55곳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한국마사회, 농협중앙회, 한국투자공사, 중소기업은행, 7대 공제회 등 농생명과 금융 분야의 25곳을 최우선 유치 대상으로 정했다.
도는 1차 이전 대표 기관인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농생명 연구시설과 국가기관을 연계하고, 금융부문에서는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한 자산운용기관 유치를 염두에 두고 있다. 도 관계자는 “2차 이전은 산업 연계형 균형발전이 핵심”이라며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지방 산업·인력·도시 기능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행법상 공공기관 이전은 기존 혁신도시 우선 배치가 원칙이며, 신규 지역의 지정은 국회 입법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2차 이전 대상지는 1차 공공기관이 이미 입주한 기존 혁신도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2005년 전주시와 완주군 일원에 조성된 전북혁신도시에는 국민연금공단과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농생명·식품산업 특화 국가기관들이 집적돼 있다. 도심 접근성과 정주 여건, 생활 인프라, 노조 협의 가능성 등 주요 평가 요소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데이터산업·환경·국방 분야 등 미래 전략산업과 연계 가능한 기관 30곳도 후보군에 포함됐다. 전북도는 농생명과 금융 중심 전략에 더해 혁신도시의 산업 기능을 다변화하고 장기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고 있다.
다만 혁신도시 용지 마련과 전주·완주 통합이 변수로 남아 있다. 정부가 갈등 요인이 적은 지역을 우선 고려할 가능성이 커, 지역 내부의 협력과 공감대 확보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2차 공공기관 이전의 구체적인 방향은 국토교통부가 결정권을 쥐고 있어, 현재로선 방침을 기다리는 상황”이라며 “정부 방침이 정해지는 대로 현실적인 대안 마련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