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20일 사상 첫 3800선 고지를 돌파한 가운데 한국 주식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 온 ‘데이트레이딩’(당일 거래·단타) 비중이 현 정부 들어 절반 이하로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과 주가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거래소가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현황’을 보면 지난해 코스피 시장의 전체 거래량 중 단타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1.85%였지만 올해(1~9월)는 49.06%로 절반 밑으로 내려갔다.
월별 비중을 살펴보면 이재명정부 출범 이전인 지난 1월부터 5월까지는 단타 평균이 51.94%로 지난해와 유사했다. 그러나 새 정부 들어 단타 비중이 줄어 지난 6~9월 평균은 45.45%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6~9월) 50.50%였던 것과 비교하면 5% 포인트 정도 낮아진 것이다.
거래대금 기준으로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났다. 지난해 코스피 시장 전체 거래대금에서 단타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39.43%였고 올해는 35.11%로 집계됐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는 37.00%였지만 6~9월에는 32.75%로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6~9월(40.33%) 대비로는 8% 포인트 가까이 낮아졌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단타 거래 비중이 줄어드는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통상 단타는 코스피보다 중·소형주가 몰려 있는 코스닥에서 더 잦다. 거래량 기준 지난해 코스닥 시장에서 단타 비중은 61.51%, 올해는 61.11%로 소폭 줄었다. 그러나 월별 비중을 보면 올해 1~5월에는 62.22%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높아지는 추세였지만 6~9월에 59.73%까지 줄어 60% 아래로 내려왔다.
지난해 전체 거래대금 중 단타 비중도 57.17%, 올해는 54.66%로 감소했다. 올해 현 정권 출범 전후를 비교하면 1~5월 57.70%에서 6~9월 50.85%로 줄었다.
단타는 한국 주식시장의 오랜 고질병 중 하나였다. 개인 투자자 비중이 큰 시장에서 계열사 분할 상장과 일부 유상증자 등 일반 주주의 이익을 훼손하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장기 투자를 가로막는다는 비판이 많았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 불공정 거래 엄벌, 상법 개정 등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증시 상승 흐름이 지속되면서 단타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65.80포인트(1.76%) 오른 3814.69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3800선을 돌파했다. 지난 15일부터 4거래일 연속 최고치 경신이다. 미 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과 정부의 부동산 세제 개편 언급으로 주식시장으로 ‘머니무브’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호재로 작용했다.
강 의원은 “단기매매가 줄고 있는 것은 주주 보호 정책과 제도 개선으로 한국 주식시장의 신뢰가 회복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라며 “이를 지속시키기 위해 장기투자 유인을 높이는 후속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