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시장 선거 3대 변수는… 이재명·부동산·중도층

입력 2025-10-20 00:04

내년 6월 열리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이재명정부에서 치러지는 첫 전국단위 선거다. 그중에서도 서울은 사실상 전체 승패를 가를 대표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정권 평가 성격이 짙은 만큼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부동산 정책 민심, 중도층 평가가 핵심 3대 변수로 꼽힌다.

내년 지방선거는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정권교체 이듬해에 치러진 2018년 선거와 기본적인 구도가 비슷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2017년 집권한 문재인정부는 이듬해 지방선거에서 전국적 압승을 기록했었다. 당시 문 대통령은 70% 수준의 지지율을 보이며 전국 광역단체장 17곳 중 서울·부산을 포함한 14곳을 석권했다.

하지만 현재 이 대통령 지지율은 50%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 이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냉정한 편이다. 리얼미터의 10월 1주차 조사에서 서울 시민 48.0%가 긍정 평가를, 48.3%는 부정 평가를 했다. 전국적으로 긍정 평가(53.5%)가 부정 평가(43.3%)를 앞서는 흐름과는 달랐다. 한국갤럽의 10월 3주차 조사에서는 서울 지역 긍정 평가가 48%, 부정 평가가 38%로 10% 포인트 격차가 났지만 이는 직전 조사(긍정 54%, 부정 36%)보다 좁혀진 것이다.


장형철 KSOI 부소장은 19일 통화에서 “집권 2년차에 진행되는 선거여서 기본적으로 이재명정부에 대한 평가가 가장 큰 변수”라며 “안정적으로 국정 과반 지지가 유지된다면 여당에 호재겠지만 반대라면 정권심판론에 힘이 실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대책도 주요 변수로 급부상하고 있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초강수가 서울 유권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가 주목된다. 야당은 이번 대책을 ‘서울 추방령’으로 규정하고 연일 비판하고 있다. 반면 여당은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점을 설명하는 동시에 공급 대책을 강조하며 여론 달래기에 나선 모습이다.

아직 부동산 대책 평가가 여론조사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한 여론조사 기관 관계자는 “서울 전역이 규제 대상으로 묶였기 때문에 부동산 대책 이전과 이후의 여론 흐름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대표적인 스윙보터(부동층) 지역으로 꼽히는 서울 선거를 위해서는 중도층 공략이 핵심이라는 평가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여론조사 업체 관계자는 “서울의 스윙보터들은 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에서 민주당에 힘을 실어줬지만, 이후 민주당의 일방적 국정 운영에 실망해 지지를 철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만약 이 대통령 지지율이 지금처럼 50% 수준에서 여야가 팽팽하게 맞선다면, 결국 후보 자체가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된다”며 “현역 오세훈 서울시장에 도전해야 하는 여당으로서는 참신하면서도 국민적 신망이 두터운 인물이 나와야 승산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판 성윤수 송경모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