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세계 4위까지 넘본다

입력 2025-10-20 01:22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지난달 열린 ‘2025 국중박 분장놀이’ 포토존에서 사자보이즈 복장을 한 청년이 기념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1945년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이 사상 처음으로 연간 관람객 500만명 시대를 열었다. 이런 추세라면 전 세계 1위인 파리 루브르박물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빅5’ 대열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 들어 지난 15일까지 관람객이 내국인 483만677명, 외국인 18만5705명 등 총 501만63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95만5789명)과 비교해 69.70% 증가한 것이다. 외국인 관람객 수는 역대 최다였던 2024년(19만8085명)을 넘어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추세라면 연말까지 누적 관람객이 600만명에 근접할 거라는 기대도 나온다.

영국의 미술 매체 '아트 뉴스페이퍼'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관람객 수는 세계 1위 루브르박물관(873만7050명)에 이어 바티칸박물관(682만5436명), 런던 영국박물관(647만9952명),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572만7258명), 런던 테이트모던(460만3025명) 순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 이런 흐름을 이어간다면 테이트모던을 제치고 세계 5위권 반열에 오를 전망이다.

박물관은 관람객 증가요인으로 전시 공간의 새 단장, 감각적 콘텐츠 개발, 관람객 참여 프로그램 확대 등이 어우러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견인한 덕분으로 자체 분석했다. 특히 국보 반가사유상 2점을 나란히 전시한 ‘사유의 방’은 시그니처 전시로 자리매김했다. 여기에 ‘분청사기·백자실’, ‘청자실’, ‘기증관’, ‘외규장각 의궤실’, ‘선사·고대관’ 등 상설전시관도 스토리 중심의 세련된 전시 기법으로 관객을 견인했다.

‘2025 국중박 분장놀이’, ‘공연예술축제 박물관 문화향연’ 등 시민참여형 행사도 인기를 끌었다. 특히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K콘텐츠의 글로벌 흥행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 확산으로 이어졌다. 이는 외국인뿐만 아니라 국내 젊은 세대들의 발걸음을 박물관으로 이끄는 동력이 됐다. 여기에 박물관 문화상품 ‘뮷즈’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도 힘을 보탠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 상설전시는 무료라는 점에서 유료 관람 정책을 펴는 해외 미술관과 단순 비교는 무리라는 평가도 나온다. 문화계 인사는 “지역 활성화와 다양성이 화두인 만큼 소속 박물관의 브랜드 강화와 전시 홍보에도 관심을 갖고 인력과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손영옥 미술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