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 최우정, 극작가 배삼식, 연출가 정영두. 오는 25~26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무대에 오르는 국립오페라단의 신작 오페라 ‘화전가’는 세 예술가의 이름만으로도 일찌감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들은 앞서 오페라, 음악극, 창극 등 음악과 드라마가 결합된 장르에서 각각 또는 함께 좋은 결과물을 보여준 바 있다.
이들이 작곡, 극작, 연출로 호흡을 맞추는 것은 2017년 초연된 서울돈화문국악당의 음악극 ‘적로’와 2022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마디와 매듭’에 이어 세 번째다. 공연을 앞두고 세 사람을 만나 ‘화전가’의 작업과정을 들었다.
작곡가·작가·연출가로 세 번째 작업
“국립오페라단이 제게 신작을 의뢰했을 때 바로 ‘화전가’를 제안했어요. 2020년 국립극단에서 공연한 배삼식 작가의 ‘화전가’ 대본을 읽었을 때부터 오페라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거든요. 인물들의 절절한 사연이 노래를 만들어내고, 거기서 음악극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최우정)
최 작곡가는 연극, 오페라, 뮤지컬, 무용 등 극음악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쳐왔다. 레퍼토리로 살아남는 창작오페라가 드문 국내 오페라계에서 평단과 대중을 고루 만족시키는 작곡가다. 그는 2014년 서울시오페라단의 ‘달이 물로 걸어오듯’과 2019년 국립오페라단의 ‘1945’로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극작가 배삼식은 연극, 창극, 뮤지컬, 마당놀이 등 다양한 장르에서 창작부터 번안까지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선보여왔다. 리듬감 있고 시적 이미지가 풍부한 그의 대사는 음악극에 특히 어울린다는 평가다. 국립창극단 ‘트로이의 여인들’ ‘리어’와 배우 김성녀의 모노 뮤지컬 ‘벽 속의 요정’ 등이 대표작이다.
배삼식 “희곡 쓸 때 콘체르토의 형식 의식”
국립오페라단의 ‘1945’와 ‘화전가’는 모두 배 작가의 희곡을 오페라로 옮긴 작품이다. ‘1945’가 해방 직후 만주의 한국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머물렀던 전재민(戰災民) 구제소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간군상을 그렸다면, ‘화전가’는 한국전쟁을 목전에 둔 1950년 4월 경북 안동의 김씨 집안을 배경으로 아홉 여인의 이야기를 그린다.
“희곡을 오페라 대본으로 만들 때는 희곡의 장점을 빨리 포기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다행히 저는 그게 어렵지 않아요. 게다가 ‘화전가’를 포함해 최근 쓴 희곡들은 처음부터 콘체르토(협주곡)의 악장 형식을 의식하며 썼습니다. 예를 들어 4악장이라면 1악장은 안단테, 2악장은 알레그로 등으로 생각하며 모티브를 어떻게 변주할지 상상했어요.”(배삼식)
최 작곡가와 배 작가는 2012년 서울시오페라단의 창작오페라 개발 모임 ‘오페라 카메라타’에서 처음 만났다. 배 작가가 각색과 가사를 맡았던 ‘벽 속의 요정’에 깊은 감동을 받았던 최 작곡가는 이 모임을 계기로 친분을 다지게 됐다. 최 작곡가는 2013년 LG아트센터에서 글룩의 오페라 ‘에코와 나르시스’를 미디어 아트와 결합해 재구성하는 작업에서 정영두 안무가와 처음 만났다. 예술적 가치관이 비슷한 세 사람은 이내 자주 만나는 친구이자 창작 동료 사이가 됐다.
최우정 “다양한 음악 활용한 악극 형식
“한국에서 창작오페라는 재미없거나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한 데, 원래 오페라는 탄생부터 열린 형식이며 실험성을 지닌 장르입니다. 제가 이번에 주목한 것은 ‘악극’(樂劇)입니다. ‘화전가’는 서양 오페라 전통과 한국의 악극 전통을 혼합한 오늘날의 악극이라 할 수 있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 즈음의 민요와 동요 등 대중음악과 클래식 등의 선율을 다양하게 활용했어요. 또 코러스(합창단)가 드라마 전달의 중요한 축을 맡아 연기, 노래뿐 아니라 움직임을 통해 드라마를 전달하기 때문에 안무가로 활동하는 정영두 연출가를 섭외했습니다.”(최우정)
오페라 ‘화전가’의 가장 큰 차이점은 희곡에 없던 코러스의 등장이다. 코러스는 원작 희곡에서 출연진의 대화 속에만 존재하던 남편과 아들 등 남성 인물의 목소리를 대신하는 한편 1950년 당시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대중의 역할까지 다채롭게 활약한다. 올해 국립오페라단 합창단으로 활동 중인 위너합창단이 참여한다.
“최 선생님이 구상한 음악적 구조를 듣고 나서 희곡을 오페라 대본으로 바꾸는 작업을 했어요. 4막 중 2막까지 받은 뒤 3~4막에 대한 최 선생님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참고해서 나머지 대본을 썼습니다. 그동안 여러 작품을 함께한 만큼 이번 협업 역시 순조로웠습니다.”(배삼식)
정영두 “대본과 음악이 영감의 원천”
배 작가의 대본과 최 작곡가의 음악을 무대 위에서 구현하는 연출가 정영두 역시 주목받고 있다. 연극배우로 활동하다 무용수 겸 안무가로 활동 영역을 넓힌 그는 2007년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로 연출가로 데뷔했다. 이후 국악, 다원 예술, 연극 등 다양한 공연에 참여한 그는 2017년 ‘적로’와 2022년 국립창극단 ‘리어’에서 본격적으로 연출력을 인정받았다. 지난해 10월 런던 바비컨센터에 초청된 ‘리어’가 호평받으며 그는 올해 영국 공연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로런스 올리비에상 ‘오페라 우수 성취’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수상은 못 했지만, 그의 연출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
“오페라 연출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적로’나 ‘리어’같은 음악극을 연출과 다르지 않습니다. 저의 영감은 대본과 음악에서 나옵니다. 대본을 반복해서 읽고 음악을 들으면 작품의 장면이 그림처럼 그려지고 인물의 감정이 자연스레 느껴집니다. 이후 작품에 출연하는 솔리스트와 코러스에게 제 해석을 설명했어요.”(정영두)
앞서 ‘적로’와 ‘리어’를 연출했을 때 그는 안무가 출신답게 공간 활용과 배우들의 앙상블, 리듬감 조절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작품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얼까.
“‘화전가’에서는 아홉 여인의 연기와 동선을 자연스럽게 찾는 동시에 코러스를 유기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고민했어요. 코러스가 집단적 캐릭터로서, 혹은 음악적 기능으로만 존재할 때가 있어서 두 측면이 작품 속에 잘 녹아들도록 했습니다. 인물의 내면에 다가가는 작품인 만큼 출연진과 코러스의 섬세한 연기와 움직임이 중요한데, 다들 고마울 정도로 열심히 임하고 있습니다.”
세 예술가는 이제 서로에게 ‘지음’(知音)이 됐다. 작업할 때 굳이 많은 말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다. 앞으로의 협업 계획을 묻자 최 작곡가가 대표로 답했다. 그는 “기회가 된다면 배 작가가 2007년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그의 저서 ‘열하일기’를 가지고 우화적으로 쓴 ‘열화일기만보’를 오페라로 만들고 싶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 ‘토지’를 3부작 오페라로 올리고 싶습니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