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한국인 납치·감금 피해 급증 배경에는 단숨에 큰돈을 벌겠다는 욕심에 범죄 유혹에 빠진 경우도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취업난이 워낙 심해 청년들이 사기에 쉽게 걸려든 측면도 작지 않다. 전해지는 피해 사례를 보면 사기꾼들은 청년들이 자주 찾는 취업포털에 ‘텔레마케팅’ ‘해외 IT 업무’ 등의 거짓 문구로 피해자들을 현혹해 왔다. 특히 아르바이트 자리도 얻기 어려운 20~30대 지방 청년들이 이런 가짜 광고에 자주 걸려들곤 했다. 또 ‘스펙’이 약한 지방 청년들은 ‘학력·경력 무관’과 같은 지원 문턱이 낮은 광고에 흔들리기 십상이었다.
문제는 범죄자들은 취업난에 지친 청년들의 약한 고리를 노리고 접근했지만 당국의 허위 광고 차단이나 취업 사기 근절 노력은 턱없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어제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실이 최근 취업포털에서 광고를 보고 확인했더니 광고를 낸 쪽이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이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조 의원이 지난해 국감에서도 고수익 보장 광고에 속아 범죄에 연루되는 청년들이 많다고 경고했지만 1년이 지나도록 별반 달라진 게 없는 셈이다. 고용노동부와 검경 등은 당장 오늘부터라도 취업 사기 광고에 대한 모니터링과 단속을 획기적으로 강화해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한다.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일도 시급하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1.2% 포인트 하락한 반면, 실업률은 1.0% 포인트 오른 5.0%로 3년 만에 최고치였다. 대기업의 경력직 선호 추세도 확산돼 사회에 막 진출한 지방 청년이 어엿한 일자리를 얻기는 하늘의 별 따기일 것이다. 결국 정부와 기업, 자치단체 등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더 적극 나서야 한다. 정치권도 일자리 확대에 좋은 기업 환경을 만드는 데 소매를 걷어붙일 때다. ‘일자리 나눔’이 활성화돼야 사회 기반도 튼튼해지고, 청년들의 불행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