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간 한국인 80명 생사 확인 안돼

입력 2025-10-15 00:09 수정 2025-10-15 00:13
김남준 대변인이 1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수익 일자리’를 미끼로 한 캄보디아 한국인 취업 사기 및 감금 사건과 관련해 지난 8월까지 우리 국민 80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별도로 온라인 스캠(온라인상의 신종 사기)을 벌이다 캄보디아 수사 당국에 검거된 이들도 63명에 달하지만 귀국을 거부하고 있어 국내 송환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외교부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캄보디아 공관에 접수된 한국인 대상 취업사기·감금 피해 신고자가 550명이라고 14일 밝혔다. 이 가운데 470명은 안전이 확인돼 종결 처리됐다. 현지 경찰에 체포·구조·추방되거나 자력탈출·귀국, 가족·지인과 연락이 닿은 경우다.

나머지 80명은 소재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본인이 직접 신고해 도움을 호소하거나 가족·지인이 연락두절 사실을 신고했지만 여전히 신변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다. 올해 신고된 이들이 70명이었고, 10명은 지난해 신고가 접수됐으나 해를 넘겨서도 안전이 미확보된 국민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본인이 (직접) 1차 연락을 했더라도 소재지가 파악되지 않고, 이후 공관과 다시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며 “(공관에 신고하지 않고) 경찰청에 신고된 사례도 있어 크로스체크 작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청은 지난해부터 지난 13일까지 약 2년간 캄보디아에서 실종·감금 의심으로 접수된 사건이 총 143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91건은 신변 안전이 확인됐고 나머지 52건은 수사가 진행 중이다.

캄보디아에서 취업사기·감금 피해 신고는 지난해를 기점으로 폭증했다. 온라인 스캠 범죄는 미얀마·라오스·태국 접경지대인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주로 발생했는데, 지난해 초 이 지역에 여행금지 조치가 내려지면서 캄보디아가 주요 거점지가 됐다. 2022년, 2023년 캄보디아 공관에 들어온 한국인 감금 피해 신고는 각 1명, 17명에 불과했으며 모두 그해 종결됐다.

정부는 캄보디아에 대해 조만간 여행경보를 추가로 격상할 방침이다. 그러나 캄보디아는 연간 20만명의 한국인 관광객이 방문하고 현지 교민도 1만명에 달해 여행금지 조치까지는 어려운 상황이다.

캄보디아 수사 당국이 온라인 스캠 단속 현장에서 검거한 우리 국민 63명은 현지 구금시설에 잡혀 있다. 이들은 추방명령을 받았음에도 귀국을 거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조만간 이들을 송환할 계획이지만 범죄에 가담한 이들을 위해 비용과 행정력을 들이는 것에 대한 비판도 예상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무엇보다 피해자를 보호하고 사건 연루자를 국내로 신속히 송환해야 한다”며 “국민이 도움을 요청하면 우리 재외공관이 즉시·상시 대응하도록 인력·예산 편성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말했다. 주캄보디아대사관에서 사건·사고 담당 인력은 경찰 주재관 1명과 경찰 직무파견자 2명, 실무관 2명으로 5명에 불과하다.

최예슬 조민아 이동환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