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들이 국정감사장에 모습을 드러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에게 일제히 질타를 쏟아냈다. 홈플러스·롯데카드 사태의 책임자로 지목된 김 회장은 ‘사회적 책임’을 거론하면서도 자신이 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면서 “홈플러스 임직원 및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회장인 그가 국회의 출석 요구에 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부터 국회는 MBK파트너스가 대주주로 있는 홈플러스가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롯데카드가 대규모 정보 유출 사태에 휩싸이자 거듭 김 회장의 출석을 요구해왔다.
이날 여야 위원들은 MBK파트너스의 ‘먹튀 경영’ 논란에 화력을 집중했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가 협력업체와 채권단에 투자와 성장을 약속해 놓고 투자금 회수만 계속했다”고 지적했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MBK파트너스가) 보여준 행태는 약탈적 헤지펀드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면서 “사모펀드가 계열사인 카드사(롯데카드)와 협업해 홈플러스의 부채를 외주화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김 회장은 홈플러스 경영에 대해서는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MBK파트너스는) 대기업이 아니고 저는 총수가 아니다”라면서 “(기업회생 신청은) 제 권한이 아니라 홈플러스 이사회에서 언급한 사안”이라고 답변했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김현정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위법행위를 엄정히 제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도 “(MBK파트너스의) 조금 더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거들었다.
이날 국감에서는 입점업체에 대한 최혜대우 요구 등으로 논란이 된 배달의민족·쿠팡이츠에 대한 질타 역시 이어졌다. 배달의민족의 새 배달 시스템인 ‘로드러너’ 도입이 라이더와 고객 불만을 증가시킨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