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외 인력까지 동원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전산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복구율은 여전히 30%대에 머물고 있다. 당초 정부가 목표로 내세운 ‘4주 내 100% 복구’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2일 낮 12시 기준으로 전체 709개 중 249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복구율은 35.1%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0개(75.0%)가 복구됐다. 2등급은 68개 중 33개(48.5%), 3등급은 261개 중 106개(40.6%), 4등급은 340개 중 80개(23.5%)가 재가동됐다. 등급은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등을 바탕으로 분류된다.
정부는 복구 현장에 공무원 200여명, 민간 인력 760여명 등 960여명을 투입했다. 분진 제거에만 민간 인력 50여명이 붙었다. 이 중 10여명은 해외 업체에서 파견된 외국인 전문 인력이다. 분진 제거는 장비를 일일이 분해해 화재로 생긴 재를 세척·건조·재조립하는 고난도 작업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책 연구기관의 석·박사급 인력 9명도 복구를 돕고 있다.
다만 복구 속도는 더딘 편이다. 정부는 지난 3~9일 추석 연휴를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고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했다. 하지만 일주일간 복구된 시스템은 47개에 그쳤다. 일평균 6.7개꼴이다. 복구가 느린 이유로는 불이 난 대전 본원 5층 7·7-1·8 전산실에 최소 330개의 시스템이 몰려 있었던 점이 꼽힌다. 절반가량의 시스템이 분진과 같은 화재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입었다는 뜻이다.
정부의 ‘4주 내 100% 복구’ 공언도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속도로는 화재 발생 4주째를 맞는 오는 24일까지 완전 복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새롭게 들여온 전산 장비 설치가 끝나는 오는 15일부터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예상한다. 중대본 관계자는 “이달 내로 최대한 많은 시스템을 재가동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