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시스템 복구율 여전히 30%대 그쳐

입력 2025-10-12 18:35 수정 2025-10-12 18:40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지난 2일 오전 국정자원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해외 인력까지 동원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전산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복구율은 여전히 30%대에 머물고 있다. 당초 정부가 목표로 내세운 ‘4주 내 100% 복구’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2일 낮 12시 기준으로 전체 709개 중 249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복구율은 35.1%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0개(75.0%)가 복구됐다. 2등급은 68개 중 33개(48.5%), 3등급은 261개 중 106개(40.6%), 4등급은 340개 중 80개(23.5%)가 재가동됐다. 등급은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등을 바탕으로 분류된다.

정부는 복구 현장에 공무원 200여명, 민간 인력 760여명 등 960여명을 투입했다. 분진 제거에만 민간 인력 50여명이 붙었다. 이 중 10여명은 해외 업체에서 파견된 외국인 전문 인력이다. 분진 제거는 장비를 일일이 분해해 화재로 생긴 재를 세척·건조·재조립하는 고난도 작업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책 연구기관의 석·박사급 인력 9명도 복구를 돕고 있다.

다만 복구 속도는 더딘 편이다. 정부는 지난 3~9일 추석 연휴를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고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했다. 하지만 일주일간 복구된 시스템은 47개에 그쳤다. 일평균 6.7개꼴이다. 복구가 느린 이유로는 불이 난 대전 본원 5층 7·7-1·8 전산실에 최소 330개의 시스템이 몰려 있었던 점이 꼽힌다. 절반가량의 시스템이 분진과 같은 화재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입었다는 뜻이다.

정부의 ‘4주 내 100% 복구’ 공언도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속도로는 화재 발생 4주째를 맞는 오는 24일까지 완전 복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새롭게 들여온 전산 장비 설치가 끝나는 오는 15일부터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예상한다. 중대본 관계자는 “이달 내로 최대한 많은 시스템을 재가동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