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가 끝난 10일 여야 모두 나란히 ‘민생 모드’에 돌입했다. 연휴 내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이재명 대통령의 예능프로그램 녹화 등 정쟁성 공방을 이어가다 국정감사를 앞두고 민생·경제 정책 주도권 싸움을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는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내란청산과 민생 경제회복이 추석 민심이었다”며 “당·정부·대통령실은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원팀으로 국민이 ‘오케이’ 할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내란청산과 함께 민생과 경제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것이다.
민주당은 재계 증인 최소화 등 국감 증인 채택 관련 3가지 원칙도 밝혔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국감에서 재계 증인, 특히 오너·대표에 대한 출석을 최소화하고 이들의 여러 상임위 중복 출석도 최대한 지양하겠다”며 “시간을 정해 집중 질의하고, 무한정 대기하는 관례도 최대한 없애겠다”고 말했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관세 협상에 재계 도움이 많이 필요하고, 민생회복에 재계가 함께 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며 “재계가 국감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경제 활동에 전념하도록 배려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국감 기간 중 민생법안 처리를 위한 ‘원포인트’ 본회의 카드도 검토하고 있다. 여야 정쟁에 민생법안이 밀리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자 집권 여당으로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것이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지난 8일 “연휴 직후 바로 본회의를 열어 70여개 비쟁점 민생법안부터 처리하자”며 본회의 합의를 촉구했었다. 국민의힘 원내 관계자는 “본회의 일정과 관련해 민주당과 물밑에서 논의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전 법안 필리버스터 방침 또한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또한 국감 과제 중 하나로 경제 정상화를 내세우고 민생경제협의체 재가동을 제안하면서 ‘민생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국감 대책회의에서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이재명정부 민생 실정의 문제점을 낱낱이 고발하겠다”며 “이재명정부의 실정으로 무너지고 있는 경제가 다시 팔딱팔딱 뛰도록 경제성장의 회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도읍 정책위의장은 “민주당과 이재명 정권의 독선과 독재 노선을 수정해 민생경제협의체가 정상 가동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전국 17개 시·도당 위원장이 참석하는 민생 간담회도 열었다. 장동혁 당대표는 “정부 여당의 헌법 질서 파괴를 막으면서 민생과 국민의 삶을 살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숙제도 있다”고 했다. 지선 총괄기획단과 반도체·AI(인공지능) 첨단산업 특위, 주식 및 디지털 자산 밸류업 특위도 공식 출범했다. 지선 기획단 위원장을 맡은 나경원 의원은 “이재명 정권에 대한 심판 선거를 잘 치러 국민의힘이 국민 구하기, 민생 구하기, 안전 지키기의 선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