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화통신은 “리 총리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와 북한 정부 초청으로 노동당 80주년 경축 행사 참석을 위해 중국 대표단을 이끌고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북한 측에선 박태성 내각 총리가 고위급 당국자들과 직접 공항에 나와 리 총리를 영접하고, 함께 의장대를 사열했다.
리 총리는 “최근 몇 년 동안 시진핑 주석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전략적 지도와 직접적인 추동 아래 중·조(중·북) 관계는 새로운 왕성한 생기를 발산하고 있다”며 “중국은 양당·양국 최고지도자가 달성한 중요 공동 인식(합의)을 잘 이행하고,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며, 긴밀한 교류를 유지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 총리가 북한을 공식 우호 방문한 건 2009년 10월 원자바오 당시 총리 이후 16년 만이다. 공산당 서열 2위의 북한 기념 행사 참석은 처음이다. 중국은 2015년 창건 70주년 열병식 때는 권력 서열 5위인 류윈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보냈었다.
러시아는 푸틴 대통령의 오른팔로 불리는 메드베데프 부의장을 평양에 보냈다. 러시아 집권당인 통합러시아당의 블라디미르 바실리예프 원내대표와 블라디미르 야쿠셰프 사무총장도 대표단으로 동행했다.
리 총리와 메드베데프 부의장의 방북은 김 위원장에 대한 중·러의 예우 성격이 짙다. 북한은 수만 명 규모의 열병식을 준비했는데, 이들은 김 위원장과 단상에 함께 올라 이를 지켜볼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지난달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시 주석 양옆에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자리했듯 이번 북한 열병식에서는 중·러의 2인자가 김 위원장 양옆에 서는 모습이 연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진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유라시아센터장은 “러시아와 중국이 각국 서열 2위를 북한에 파견해 중국 전승절 당시 북·중·러 연대의 실질적 이행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열병식에는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과 발테르 소렌치누 브라질 공산당 전국부위원장 등도 참석, 김 위원장은 안방에서 다자 정상외교를 펼치게 된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