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2주 지났는데 피해 규모 정정… 정부 ‘관리 부실’ 논란

입력 2025-10-09 19:01 수정 2025-10-10 00:04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전산 시스템 수를 화재 발생 14일째에 기존 647개에서 709개로 정정했다. ‘오락가락’ 집계로 사고 이전부터 시스템 관리가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복구율은 20%대에 머물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국정자원의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 ‘엔탑스’(nTOPS)를 복구해 분석한 결과, 709개 시스템이 이번 화재로 멈춘 사실이 최종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이는 기존 집계 647개보다 62개 더 많은 수치다. 등급별로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로 파악됐다. 등급은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등을 고려해 분류된다. 복구된 시스템은 이날 오후 6시 기준 197개다. 복구율은 27.8%다.

정부는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시스템을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우체국 금융, 공직자 통합 메일과 같은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세분화돼 시스템 수가 증가했다”며 “정확한 현황 관리로 더욱 정밀한 복구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시스템 관리 부실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고 현황 파악에 필요한 수치가 연이어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본 시스템을 70개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하루 뒤 96개로 정정했다. 지난달 30일에는 중단된 1등급 시스템이 36개인지 38개인지를 두고 혼선을 빚었다.

정부는 연휴가 끝나는 대로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연휴 기간에 신규 전산 장비 198식을 도입했다.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오는 15일부터 복구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화재가 발생한 대전 본원 5층의 7·7-1·8전산실 중 8전산실은 분진 제거를 마쳤다. 이르면 오는 11일 재가동된다. 7·7-1전산실의 시스템은 국정자원 대구 센터로 옮겨져 재설치되거나 2~4층 전산실에서 복구된다. 7·7-1·8전산실의 시스템은 330여개로 추정된다.

행안부는 전산망 복구 업무를 담당하다 지난 3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행안부 공무원이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도 밝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근무자들의 애로 사항을 해소하고, 인력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지속 가능한 복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