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복구율 10%대 정체… 추석 안전 공백 우려

입력 2025-10-03 18:05 수정 2025-10-03 18:14
정부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전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오후 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91개(14.1%)가 정상화됐다. 1등급 업무는 38개 중 20개(52.6%)가 정상화됐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마비된 국가 전산망의 복구율이 10%대에서 정체하고 있다. 정부는 추석 연휴를 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안전디딤돌 등 재난·안전 관련 시스템들이 복구되지 않고 있어 연휴에 ‘안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달 26일 화재로 가동을 멈춘 정보 시스템 647개 가운데 115개가 복구됐다고 3일 밝혔다. 복구율은 17.77%다. 윤호중 중대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연휴를 정보 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비상한 각오로 복구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복구 현장에는 공무원, 전문 인력 등 820명을 투입했다. 삼성SDS, LG CNS 등 민간 기업도 복구를 돕고 있다.

국가 전산망의 복구가 더딘 이유로는 화재가 발생한 대전 본원 5층 7·7-1·8 전산실에 647개 시스템 중 330개가 몰려 있었다는 점이 꼽힌다. 불이 난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전소됐고, 7·8 전산실의 시스템은 분진 피해를 입었다.

더 큰 문제는 일부 재난·안전 시스템들이 복구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대피시설의 위치를 제공하는 안전디딤돌, 재난 시 행동요령을 전파하는 재난안전포털이 작동하지 않고 있다. 119 출동 상황을 전광판 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리는 ‘고속도로 119 긴급 출동 알림 서비스’도 중단된 상태다. 추석 연휴를 맞아 안전 공백을 걱정하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정부는 대체 수단을 확보해 안전 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재난정보를 재난문자를 통해 전파하고 국민 행동요령이나 대피 장소 등을 네이버, 카카오맵 등의 민간 플랫폼을 활용해 알리겠다는 취지다.

한편, 이날 공무원 A씨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투신해 사망했다. A씨는 국가 전산망 관련 업무를 담당해 왔다. 경찰의 수사 대상에 포함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1일 국정자원 관계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