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일주일 지났는데 복구율은 ‘지지부진’

입력 2025-10-03 00:54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안부 차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현장에 가용할 수 있는 민관 인력을 총투입해 디지털 전산망 복구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96개 시스템은 오는 28일까지 복구할 방침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화재로 녹아내린 5층 7~8전산실 전원장치 수리를 전문업체 지원을 받아 통상 1개월 소요되는 것을 열흘 안에 완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화재 영향이 적은 1~6전산실 시스템도 화재가 발생한 5층 7~8전산실과 연계돼 운영된 것이 많다”며 “시스템의 빠른 복구를 위해 5층 전산실 복구에 속도를 올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 4시 기준 복구율은 17.77%로, 중단된 647개 시스템 중 115개가 복구됐다. 김 차장은 화재 발생 7일째를 맞았으나 복구 속도가 늦다는 지적에 “7~8전산실의 손실된 서버, 네트워크 등 장비를 빠르게 구매해 재배치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정자원 대전 본원의 UPS(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 등 기반 인프라도 교체했다”고 덧붙였다.

민관 인력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그는 “전날 오후 대구센터 이전계획 수립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개최했고, 오늘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개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SDS, LG CNS 등 민간 전문가에게 지원을 요청해 협조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행안부의 우수 인력과 5급 승진자 교육 인력 20여명도 현장에 투입됐다”고 덧붙였다.

예비비도 활용된다. 김 차장은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활용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며 “추가 복구 인력과 신규 장비 구매에 필요한 비용은 ‘선집행 후지급’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 클라우드로 이전해 재설치하는 시스템들은 오는 28일까지 복구될 전망이다. 화재가 발생한 7-1전산실에 자리 잡고 있어 전소된 96개 시스템이 여기에 해당한다. 김 차장은 “필요한 장비를 들이기 위해 대구센터 공간 임대 계약을 마쳤다”며 “시범 운영과 안전성 검증 등을 거쳐 오는 28일까지 가동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전담수사팀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50분까지 국정자원과 배터리 이전 작업에 참여한 업체 등 4곳을 압수수색했다. 전담수사팀은 PC, 사업 계획서, 배터리 로그 기록 등을 확보했다. 압수물 분석과 관계자 조사 등을 통해 화재 원인과 사건 경위를 규명할 계획이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