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못 찾은 홈플러스 공개입찰… MBK 김병주 겨누는 국감

입력 2025-10-03 00:21

주인 찾기에 난항을 겪어온 홈플러스가 공개경쟁입찰을 통해 경영 정상화의 마지막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최대주주 MBK파트너스는 회생 절차에서 책임 회피 지적을 받으며 국회 국정감사 출석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홈플러스 회생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까지 겹치며 김병주 MBK 회장은 정치권의 집중포화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매각 주관사인 삼일PwC는 이날부터 공개경쟁입찰 절차를 공식 개시했다. 공고에는 인수의향서 접수와 예비실사 절차를 거쳐 11월 26일 본입찰을 진행한다는 일정이 담겼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원이 6월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허용했으나 4개월 가까이 원매자를 찾지 못했다.

MBK는 우선협상대상자와 조건부 계약을 맺는 ‘스토킹호스’ 방식을 추진했지만 국내 유통기업들과의 접촉이 성과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번 공개경쟁입찰로 외국계 기업이나 사모펀드, 전략적 투자자들이 새롭게 참여할 가능성이 생겼다. 기존 잠재 투자자들에 대한 압박 효과를 낼 수도 있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슈퍼마켓, 식품 제조·도매 사업 등 전 영역이 매각 대상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법인 전체를 한꺼번에 인수할 유인은 크지 않다고 본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나 점포 부지 등 일부 사업 부문을 분리 매각하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인수가액과 부채 구조는 걸림돌이다. 법원 제출 자료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는 약 2조5059억원, 청산가치는 3조6816억원으로 평가됐다. 인수자는 청산가치 이상을 제시해야 하며 총차입금도 약 5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입찰에서도 인수 희망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홈플러스는 11월 10일까지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회생 마감 시한은 내년 3월이다. 이때까지 매각이 무산되면 법원은 자산 분리 매각이나 청산 절차를 본격 검토할 수밖에 없다. 청산이 현실화할 경우 전국 100여개 점포와 2만명 이상 직접고용인력, 수만명의 협력업체 종사자들이 광범위한 고용 충격을 피하기 어렵다. MBK는 지난달 24일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총 5000억원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지만 업계에서는 “지원 주체·시기·방식이 불투명한 면피성 대책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와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는 김 회장과 홈플러스 경영진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김 회장이 앞서 청문회에 불출석한 전례가 있는 만큼 정치권은 이번에도 같은 태도를 보일 경우 법적 조치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전국 상권에 보유한 점포망은 전략적 가치는 크지만 통으로 인수하기엔 부담이 큰 만큼 컨소시엄이나 부분 매각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 “사모펀드가 실질적 지원 없이 경영실패 책임을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도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