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가 1일 출범하면서 초대 기후부 장관이 된 김성환(사진) 장관이 “진정한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명확한 탈탄소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진행된 출범식에서 “그동안 기후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 (온실가스) 감축 수단은 산업통상자원부에 있다 보니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제는 기획과 실행을 한 부처에서 하는 만큼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탈탄소와 관련해 온실가스 배출권 유상 할당 비중을 확대하고, 늘어난 수입금을 기업 탈탄소 전환에 재투자하는 등 기업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도록 하는 구상을 밝혔다. 또 지난해 기준 34GW인 재생에너지의 설비 용량을 2030년 100GW까지 대폭 늘린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는 “햇빛·바람·마을 연금으로 국민에게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소득이 돌아갈 수 있게 하겠다”며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 전력망을 재생에너지 중심 지능형으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기후부는 산업부 에너지 부문 중 자원 담당을 제외한 부분이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구성된 부처로 거듭났다.
세종=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