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장 열흘 추석 연휴, ‘응급실 뺑뺑이’ 없도록 해야

입력 2025-10-02 01:10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추석 연휴를 앞둔 1일 “비수도권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연휴 기간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난달 전공의 상당수가 복귀하면서 병원들의 진료 역량이 상승하고 있으나, 응급의학과 전공의 복귀율은 다소 낮은 상황”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연휴 비상진료체계를 차질 없이 가동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걱정이 앞선다. ‘응급실 뺑뺑이’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올해 연휴는 최장 10일간이나 된다. 국민을 안심시킬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연휴가 되면 대부분의 동네 병·의원과 약국은 문을 닫는다. 평소라면 쉽게 찾을 수 있던 의료기관들이 일제히 휴업에 들어가면서, 환자들은 발을 동동 구를 수밖에 없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년층에게 연휴는 ‘의료 재난’ 기간과 다름없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연휴 기간 문을 여는 병·의원과 약국 정보를 안내하고, 지역별로 응급의료체계를 가동하는 등 대책을 내놓는다. 하지만 지정된 의료기관 수는 턱없이 부족하고, 운영 시간도 제각각이라 실효성이 떨어진다. 결국 경증 환자마저 종합병원 응급실로 몰리면서, 응급실은 그야말로 ‘전쟁터’가 된다. 실제로 해마다 명절 연휴에는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평소보다 2배 가까이 폭증한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연휴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총 6만7782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상황이지만 응급실과 지역의료 공백은 심각하다. 의정갈등으로 떠난 전공의들이 대거 복귀하고 있지만 응급의학과와 비수도권 병원 지원율은 저조하다. 자칫하면 ‘응급실 뺑뺑이’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의료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안전망이다. 명절이라는 이유로 이 안전망에 구멍이 뚫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모든 국민이 편안하게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촘촘한 의료 시스템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