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1등급 정보 시스템 38개 중 20개가 정상화됐다. 다만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여전히 1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온라인 발급이 불가능해진 부동산 민원서류 열람·발급 수수료를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91개(복구율 14.06%)가 복구됐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은 20개가 정상화됐다. 복지로, 정부24, 인터넷우체국 등의 서비스가 재개됐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지방자치단체 현장 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들이 많이 활용하는 각종 민원 처리는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가 화재가 발생한 5층에 몰려 있어 복구는 더딘 상태다. 김 차장은 “화재 피해가 적은 2~4층의 시스템은 재가동을 이어가겠다”면서도 “직접 피해를 입은 5층 7-1 전산실의 96개를 제외한 5층 나머지 시스템들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정보 시스템 목록도 이날 처음으로 공개했다. 1등급 38개, 2등급 86개, 3등급 294개, 4등급 229개였다. 1등급 중에는 국민신문고, 통합보훈, 문서24, 모바일 공무원증 등이 여전히 미복구 상태다. 7-1 전산실에 위치해 미복구된 시스템은 국가법령정보센터, 온나라 시스템, 안전디딤돌,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에 대한 업무는 대체 사이트나 블로그, 수기 작성 등으로 이뤄지고 있다.
전체 복구까지는 4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시스템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완전히 복구될 수 있을지는 불명확한 상황이다. 3~4등급 일부 시스템의 백업 주기가 한 달인 탓이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소실된 데이터가 발견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며 “복구 과정 중이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디지털 전산망 복구에 속도가 붙지 않자 서둘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시·군·구청과 주민센터를 방문해 부동산 민원서류를 열람하거나 발급받는 경우 수수료가 면제된다. 기간은 시스템 복구까지다. 또 지방세 신고·납부 기한은 다음 달 15일까지로 연장됐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