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 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와 관련해 정부 당국이 현장 작업자의 수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3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 수사전담팀은 전날까지 현장 작업 인력, 배터리 유지보수 업체 관계자 등 12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경찰은 이들로부터 화재 당시 작업 진행 상황 등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이 CCTV 등을 분석한 결과 배터리 교체 작업에 참여했던 인력은 10여명 안팎인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정확한 인원을 확인하려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파악된 인원은 10여명”이라면서도 “인원 수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확한 수치는 조사를 더 해봐야 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관계 당국이 파악한 인원과는 다소 다른 수치다. 당초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전날 오전까지 이 작업에 13명이 참여했다고 발표했지만, 같은 날 오후 열린 중대본 브리핑에서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8명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 나흘까지도 정확한 작업 인원이 확인되지 않았던 셈이다. 이 원장은 “작업 당시 투입된 인원은 총 8명이었고 배터리 이전 작업 수주 업체와 파트너사를 포함해 3개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전원이 차단된 시간 역시 의혹투성이다. 중대본은 그동안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이후 40여분이 지나서 발화가 시작됐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화재 상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 최초 신고가 접수된 이후 2시간40여분이 지난 오후 11시쯤 전원 차단이 완료된 것으로 돼있다.
수사 당국은 보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 이날 화재 현장에서 4일차 합동감식을 실시했다. 감식반은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 내 발화 부위를 정밀 감식하는 한편 건물 내부를 입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3D스캐너로 현장을 스캔하며 데이터를 모았다. 최초 발화한 것으로 의심되는 배터리 6개도 국과수로 옮겨 감식을 의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