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평균 종업원 수가 줄고, 한계기업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기업 생태계가 갈수록 ‘축소지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 성장의 토대가 위축되고 있어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9일 발표한 ‘기업 성장생태계 진단과 과제’ 보고서에서 기업 평균 종업원 수 감소, 한계기업 비중 확대, 중소·중견기업 감소 등 3가지 징후를 근거로 들며 “2016년을 기점으로 한국의 기업 생태계가 축소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당 평균 종업원 수는 2016년 43명에서 2023년 40명대 수준으로 줄었다. 공장 자동화 영향도 있지만, 근복적으로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한 채 소규모 기업만 늘어난 결과라는 게 대한상의 진단이다.
역대 최대로 늘어난 한계기업 비중도 문제로 지적됐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채무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3년 이상 지속되는 ‘좀비 기업’을 말한다. 이런 기업 비중은 2014년 14.4%에서 2017년 13.6%로 소폭 낮아졌다가, 지난해 17.1%까지 치솟았다. 보고서는 한계기업 증가를 국가 생산성 전체를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중간허리’ 기업도 줄고 있다. 종업원 50~299명 규모 기업은 2014년 1만60개에서 2019년 9736개, 2023년 9508개로 지속 감소했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커지면 각종 지원이 줄고 규제가 늘어나는 구조 때문에 중간허리 기업이 버티지 못하고 도태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추세를 방치하면 생산성 둔화와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이 심화돼 우리 경제의 체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2016~2018년 평균 2.1%에서 2020~2022년 0.9%로 하락한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개국 평균은 같은 기간 0.5%에서 1.7%로 상승했다.
축소지향형 경제의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 대한상의는 기업이 규모 확장을 통해 다음 단계로 도약할 수 있는 제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자금 지원 확대, 성장성과 혁신성에 기반을 둔 선별적인 중소기업 지원, 인공지능(AI)·첨단산업 중심으로 민간 자본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금융 제도 개선 등을 제안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보호 위주의 중소기업 정책을 일정 부분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민간 자본시장 활성화로 기업의 ‘스케일업’을 촉진해 국가 생산성 정체를 돌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