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청년 고용 숫자는 늘었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급증하는 등 일자리의 질적 저하가 이어지고 청년층 지출 비중이 높은 외식 물가 등이 상승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월평균 176만4000원)부터 지난해(212만3000원)까지 10년 새 20대의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1.9%로 전 세대 중 유일하게 1%대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다른 세대의 연평균 실질소득 증가율은 40대 2.1%, 50대 2.2%, 30대 3.1%, 60대 5.2%로 각각 집계됐다. 실질소득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소득 데이터에 세대별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에 가중치를 부여한 체감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한경협이 자체 산출했다.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세는 최근으로 올수록 둔화하는 추세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20대의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2.6%였지만,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은 1.1%로 꺾였다.
지난 10년간 청년 실업률은 9.0%에서 5.8%로 3.2% 포인트 줄며 양적으로는 개선됐지만, 비정규직 비율은 32.0%에서 43.1%로 11.1% 포인트나 증가하면서 질적으로는 악화했다. 청년층 지출 비중이 큰 음식·숙박비 등이 가파르게 증가한 영향도 크다.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연 4.0%씩 올랐다.
20대의 명목상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평균 3.8%,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4.0%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청년층 체감물가의 연평균 상승률은 2019년 이후가 2.8%로 그 이전 5년(1.1%)보다 세 배 가까이 뛰면서 가처분소득 상승효과를 상쇄했다. 한경협은 “청년층의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 물가 안정화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