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 중단, 일부 재가동… 완전복구 불투명

입력 2025-09-28 18:46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 2일 만에 직접 피해를 입지 않은 551개 정부 업무 시스템에 대한 복구 작업을 시작했다. 다만 직접 피해를 본 96개 시스템 복구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찰은 소방 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합동 감식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화재로 가동을 멈췄던 국정자원 대전 본원 내 네트워크 장비를 28일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재가동했다고 밝혔다. 핵심 보안 장비는 전체 767대 가운데 763대(99%) 이상 재가동을 완료했다.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는 이날 오전 5시30분 복구돼 정상 작동 중이다.

국정자원은 정부·공공기관의 정보기술(IT) 시스템이 집결된 곳이다.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20분쯤 본원 건물 5층 7-1 전산실에서 발생했다. 작업자가 무정전·전원장치(UPS) 리튬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폭발했다. 소방 당국은 화재 발생 22시간 만인 전날 오후 6시쯤 완전 진화에 성공했다.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개도 현장에서 모두 반출했다.

하지만 이번 화재로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436개와 공무원이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내부망 211개가 멈췄다. 여기에는 인터넷 우체국,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나라장터 등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서비스가 대거 포함됐다. 온라인 민원 신청이 중단되며 국민들은 불편을 겪었다.

완전 복구 시점은 불투명하다. 정부는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장비 보호를 위해 임시로 중단시킨 551개 행정 시스템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방침이다. 다만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본 7-1 전산실의 시스템 96개에 대한 복구는 장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7-1 전산실은 국민신문고, 법령정보센터 등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96개 시스템을 국정자원 대구 분원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물리적 손상 때문에 국정자원 내 가용 자원을 활용해 이전 및 복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전소된 환경에서의 복구보다 재설치가 유리하다”고 말했다.

수사 당국은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에 착수했다. 대전경찰청은 이날 20명 규모의 전담 수사팀을 꾸리고 소방 당국, 국과수와 두 번째 합동 감식에 나섰다. 수사 당국은 UPS 리튬배터리가 폭발한 이유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