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오전 광주국제양궁장, 과녁들이 길게 늘어선 1만500㎡(3177평) 규모의 경기장에 선 16명의 선수가 차분히 활시위를 당겼다. 숨죽인 관중 앞에서 ‘팅’ 줄이 울렸다. ‘양궁 종주국’으로 불리는 한국에서 양궁 경기 모습은 익숙한 풍경이지만, 이날 경기 현장 곳곳엔 어딘가 낯선 모습이 포착됐다. 과녁까지 거리는 30m로 조금 짧았고, 선수들은 눈을 부릅뜨고 과녁을 노려보는 대신 짙은 선글라스를 쓰고 있었다. 무엇보다 선수 앞엔 삼각대처럼 생긴 조준 틀이, 그 뒤론 같은 등 번호를 붙인 사람이 서 있었다.
이는 다름아닌 세계양궁연맹(WA)·광주광역시 주최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시각장애인 종목 경기 현장이다. 이번 대회에 출전한 전 세계 8개국 16명의 선수 중 한국 선수는 세 명. 비장애인 부문에선 강국인 한국이지만, 시각장애인 부문에서 세계선수권대회에 도전한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240초 안에 6발씩, 모두 12세트에 걸친 예선전 끝에 두 명의 한국 선수가 동메달 결정전까지 진출해 등급별 4위를 기록했다.
시각장애인 양궁은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IBSA) 공인 VI(Visual Impairment) 종목으로 시력에 따라 등급별 경기가 진행된다. 선수는 활에 달린 조준기 대신 손등의 촉각으로 지상에 고정된 조준 틀을 맞춘다. 선수 뒤 함께 있던 사람은 자세와 방향을 알리는 스포터(spotter)로 “16시 8(16시 방향, 8점 과녁 위치)”와 같은 짧은 호출로, 선수의 눈이 되어준다.
아예 보이지 않는 전맹 V1등급 4위를 기록한 조종석(48) 선수는 27일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시각장애인이 활을 쏜다고 하면 의아한 시선이 많았는데 세계무대에 도전해 결실을 얻은 것 같다 감격스럽다”며 “이번 성과를 계기로 연습장과 대회 기회가 늘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V2(단안 시야 5도 미만) 등급 4위를 기록한 김성민(48) 선수도 “스포터와 그 가족들의 섬김과 배려 덕분에 3년 넘게 훈련을 이어올 수 있었다”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대표팀을 이끈 건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관장 김미경) 양궁 동호회를 성장시켜 온 석동은(70) 감독이다. 이번 대회에 출전한 세 선수 모두 이 동호회 출신이다. 석 감독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준결승까지 오른 것은 큰 성과”라며 “이번 대회를 계기로 시각장애인 양궁이 더 알려지고 훈련장·대회 기회가 확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 처음 양궁을 들여오고 1971년 척수 장애를 가진 조금임 선수를 세계신체장애인대회에 출전시켜 첫 금메달을 안긴 양궁계 대부 석봉근씨의 장남이다. 석 감독은 “아버지는 체육 교사로 근무하시며 늘 소외된 이들을 찾아가 예수님처럼 섬기셨다”며 “그 모습을 보고 자라 스포츠 선교를 비전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실제 그는 선수 시절을 거쳐 2004년과 2012년 두 차례 이탈리아팀을 지도해 올림픽 금메달을 이끈 뒤 2013년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1년간 스포츠 선교에도 헌신했다.
국내 시각장애인 양궁팀이 걸어온 길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3년 전 경기도 양주의 실내 양궁장을 찾기 전까지 훈련장을 찾지 못해 경기도 파주의 돼지 축사·양재동 비닐하우스 등까지 온갖 장소를 전전했다. 석 감독은 “그때마다 기도 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하나님이 장소와 도움의 손길을 연결해주셨다”고 고백했다. 여전히 상황은 여의치 않다. 시각장애인 양궁은 선수 수 부족, 대한장애인양궁협회 내 관련 규정 미비 등으로 전국체전에서 시범 종목에 머물러 있다. 올해는 ㈔한국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회장 강윤택)의 지원으로 세계대회 출전이 가능했다. 석 감독은 “시각장애인 양궁을 국내에 널리 알리는 것이 목표”라며 “지난 9년간 시각장애인들이 자신감을 되찾는 과정을 지켜봤다. ‘보이지 않아도 과녁을 맞힐 수 있다’는 경험이 큰 힘이 된다. 교회도 이 사역을 위해 함께 기도해 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광주=글·사진 김수연 기자 pro11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