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손해보험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 과실 비율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AI 에이전트 서비스는 접수된 자동차 사고 내용을 AI가 스스로 분석해 예상되는 과실 비율을 자동으로 산정해 안내하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 도입으로 반복적인 검색 업무가 줄어 사고 처리 과정이 빨라지고 과실 판정이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KB손보는 올해 초 ‘AI 데이터 분석’ 파트를 신설해 AI 기반 상품 및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KB금융그룹이 구축한 ‘KB Gen(생성형) AI’ 포털을 기반으로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일 과제를 계속 발굴하고 있다.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민원 관리와 콜센터 상담 지원, 계약 인수 심사, 광고 심의 등 업무에 AI 에이전트를 적용할 예정이다.
KB손보는 생성형 AI뿐 아니라 ‘머신 러닝’(기계 학습) 기반의 예측 모델을 활용해 고객 이탈 위험과 계약 갱신 가능성, 우량·불량 고객 분류 등 업무를 고도화하고 있다. 또 AI 화법 코치 솔루션인 크디랩의 ‘소카인드’(SoKind)를 영업 교육 현장에 도입, 설계사가 고객을 응대할 때 나타나는 언어와 음성, 표정, 시선 등을 분석한 뒤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다.
KB손보 관계자는 “AI 기술이 업무 전반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디지털 전환을 꾸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