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희생하며 타인을 위해 아낌없이 내주는 사람들이 있다. ‘탱크’ 최경주(55·SK텔레콤)는 그런 삶을 살아가는 대표적 인물이다.
한국인 최초로 미국프로골프(PGA)투어에 진출해 통산 8승을 거둔 그는 현재 만 50세 이상 레전드 무대인 챔피언스투어에도 2승을 추가했다. 2000년 PGA투어 데뷔 후 총 499개 대회에 출전해 3280만3596달러(약 459억 8736만원)의 상금을 벌었다. 2021년에 데뷔한 챔피언스투어에서도 현재까지 105개 대회에서 565만2345달러(약 79억 2515만원)의 상금을 획득했다.
전남 완도 출신으로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골프채를 잡았던 소년은 이미 꿈을 이뤘다. 그러나 그는 쉴 수가 없다. 그동안 받은 사랑을 되돌려 줘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2007년 자신의 이름을 걸고 설립한 최경주재단을 통해 골프 꿈나무와 일반 장학생 꿈나무들을 지원하고 있다. 2011년부터 올해로 14회째 열리는 KPGA투어 유일의 인비테이셔널 대회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은 후배들의 꿈을 키워주기 위한 무대다.
최경주는 25일 개막한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에 호스트 겸 선수로 참여해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PGA챔피언스투어를 마친 뒤 곧장 귀국한 터라 시차 적응도 안된 상태지만 후배들을 위한 걸음이어서인지 피곤함도 잊은 채 연신 싱글벙글한다.
많은 것을 내주고도 오히려 더 못 줘서 안달이다. 한 아름 안긴 선물도 선물이지만 후배들을 위한 조언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귀한 간증과 같아 큰 울림을 준다.
그의 성공은 금욕주의에 가까운 극한의 자기 절제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그런 생활 패턴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외려 지금이 더 철저하다.
최경주는 자신이 열심히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성적’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 또한 자신을 위한 게 아니다. 골프를 통해 물질이 생기면 생길수록 타인에게 더 베풀고 싶은데 그러기 위해선 좋은 성적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재단을 통해 끊임없이 배출되는 꿈나무들을 위해서라도 현역 활동을 오래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꿈나무들에게도 한때 반짝하는 선수보다 오래 하는 선수가 되어야 한다고 늘 강조한다.
그래서 그는 당초 환갑으로 잡았던 은퇴 시기를 늦췄다. 언제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선수 생활은 오래 하겠다는 생각이다. 인생의 시작은 70세부터라는 걸 마음에 새기고 철저한 준비를 통해 언제까지가 될 지 모를 미래를 개척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그에게는 두 가지 비전이 있다. 하나는 재단을 설립해 꿈나무들을 키우는 것, 또 하나는 일반인들도 언제나 이용할 수 있는 ‘꿈의 놀이 센터’ 건립이다. 재단은 현재 잘 운영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놀이 센터도 빠른 건립을 위해 기도 중이다.
그는 그동안 받은 성원과 사랑을 갚기 위해서라도 특히 꿈나무를 발굴해 키우는 일을 게을리할 수 없다고 한다. 최경주는 아이들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스스로 에너지가 생긴다고 했다. 받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훨씬 행복하단다. 그리고 그렇게 성장한 아이들이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받는 모습을 보면 기분이 좋다고 했다.
많은 골프 꿈나무들이 잘 성장해 현재 국내외 투어에서 활동 중이다. 그는 머지않은 시기에 PGA투어에서 활동하는 선수도 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틈만 나면 훈련장에 가서 같이 훈련을 한다. 매년 겨울이면 재단 꿈나무들과 자택이 있는 텍사스 댈러스에서 동계 훈련을 하는 것은 바로 그런 기대감에서다.
많은 후배가 최경주를 롤모델로 삼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런 귀한 씨앗들이 뿌려져 결실을 보아야 할 토양은 여전히 척박하다. 그가 지금 이 순간에도 젊은 선수들에 대한 큰 관심과 사랑을 호소하는 건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 싶다.
정대균 골프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