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한홍(왼쪽 사진) 국회 정무위원장과 김현정(오른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5일 ‘2025 국민금융포럼’에서 “기후위기 대응에 금융이 핵심 역할을 해야 한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두 의원은 기후위기를 “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로 규정하고 금융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와 금융 당국도 정책·제도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
윤 위원장은 “폭염과 극한호우, 가뭄이 일상이 된 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이 방향을 잡아야 한다”며 “과거의 일방적 산업화 성장에서 벗어나 기후 변화와 환경 훼손을 줄이는 투자가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명박정부가 출범하면서 내세운 ‘녹색성장’이 20년 가까이 논쟁을 이어온 만큼 결코 쉽지 않은 과제지만 균형을 잡아야 한다”며 “국회에서도 정책 반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기후위기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경제와 금융의 근간을 흔드는 총체적 생존의 문제”라며 “그동안 가계대출과 부동산 담보에 쏠렸던 금융이 이제는 신성장 산업과 녹색 전환, 기후 대응을 이끄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기업의 기후 관련 경영 전략과 이행 계획을 주주총회에서 보고토록 하는 ‘세이온 클라이밋(Say on Climate)’ 제도를 언급하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산업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담은 종합적 법률 제정 역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약속했다. 기후·에너지·미래 대응 분야는 지난달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초혁신 경제 15대 프로젝트’에서 핵심 과제로 담겼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기후위기가 물가·자산가치 변동으로 이어지며 실물경제와 금융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기후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고탄소 제조 기업의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 대응이 곧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위원장은 “기후위기는 한편으로는 금융에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세 가지 차원에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먼저 금융회사가 살아남아야 지원이 가능하므로 체력을 바탕으로 실물경제가 기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자금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지원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여러 유인 체계를 갖추고, 자금력이 취약한 기업에는 상생금융 차원에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