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1월 1일의 첫 시간을 나는 생생히 기억한다. 전 세계에서 위성 생중계로 방영된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프로젝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 때문이다. 소설가 조지 오웰이 그의 책 ‘1984’에서 예언한 감시와 통제의 텔레스크린을 뒤집는 기획이다. 백남준이 기술 문명의 밝은 측면을 예술로 드러냈다면, 선교사 출신 사상가인 저자는 이 책에서 1984년이라는 상징적 해를 맞아 교착 상태에 빠진 현대 문화와 그 속에서 교회의 길을 모색한다.
그가 인도 선교를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든 생각은 ‘희망의 상실’이다. 18세기 계몽주의와 근대가 약속한 ‘진보의 미래’가 무너진 데 따른 결과였다. 과학과 기술은 더는 해방과 행복의 원천이 아니었다. 그는 간명하게 묻는다. “우리가 알고 있는 문명에 과연 미래가 있는가.”
저자의 비판은 계몽주의 자체를 정면으로 겨눈다. 계몽주의는 모든 현상을 자연법칙과 합리적 설명으로 해명할 수 있다고 보나 “설명은 이미 수용돼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틀 안에서만 작동한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그 결과 현대인은 권리와 자유를 말하면서도 “나는 누구인가”란 근본적 물음 앞에서 방향을 잃는다.
그렇다면 교회는 어떻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할 수 있을까. 그는 계몽주의가 뒤바꾼 ‘믿음’과 ‘의심’의 관계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말한다. 계몽주의는 의심을 탐구 원리로 격상시키고 믿음을 사적·비합리적 잔재로 밀어냈다. 그러나 의심조차 특정 신념 위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새로운 틀은 이성과 과학을 절대화하지 않고 믿음과 공동체적 확신을 탐구의 출발점으로 회복하는 데서 가능하다.
또 저자는 교회가 정치적 진영 논리에 갇히지 않고 사회 전체에 책임 있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한다. 동시에 “특정 정치 강령을 하나님 뜻에 대한 순종과 동일시할 수 없다”는 점도 강조한다. 그의 통찰은 탈기독교·정치 양극화라는 흐름 속에서 한국교회가 스스로를 성찰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계몽주의에 대한 예리한 비판, 교회의 공공적 사명에 대한 신학적 질문, 복음의 진리에 대한 변증이 응축된 책이다. 흔히 저자를 “20세기 교회의 교부”라고 부른다. 그의 글은 오늘날 교회가 다시 희망을 품고 세상에서 증언자로 살아가도록 이끄는 신학적 초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