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유목민 렌딜레 부족이 사는 아프리카 케냐 마르사빗주 코어. 모래바람 휘몰아치는 광야의 아이들에겐 학교보다 가축을 돌보는 일이 먼저였다. 부족문화 속에선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일이 집안의 일꾼을 잃는 선택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금은 그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국제구호단체와 선교사들을 통해 배움과 신앙을 얻은 다음세대가 ‘교육이 마을의 미래를 여는 길’이라는 걸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제 변호사·목회자·교사의 꿈에 다가가며 공동체의 리더로 세워지고 있는 코어의 청년들을 만났다.
‘공동체 섬김’을 꿈꾸는 청년들
초등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기아대책의 아동결연개발사업(CDP) 지원을 받은 로아 갈보란(24)씨는 내년 케냐의 한 로스쿨 입학을 앞두고 있다. 꿈은커녕 정체성도 찾지 못하던 아이는 이제 마을의 첫 변호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렌딜레 출신 변호사가 아직 없다”면서 “법 지식으로 우리 마을 공동체를 보호하고 이웃을 돕는 그날을 꿈꾼다”고 말했다. 2019년 현지 교회에서 열린 유스캠프에서 “자유의지로 세상과 주님 중 누구를 따를 것인지 선택하라”는 메시지를 듣고 예수님을 따르기로 결단한 게 결정적인 계기였다. 그는 방학마다 선교사 사역도 돕고 있다.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나자로 메르키찬(22)씨는 현재 케냐 메루 과학기술대에서 지역개발을 전공하고 있다. 그 역시 12살 때 CDP에 등록하고 교육을 받으면서 삶이 달라졌다. 신앙을 가진 이후 새벽기도에 빠지지 않고, 청소년 시절엔 친구들과 마을 전도에 나서며 본격적으로 꿈을 키웠다. 그는 “복음에 순종한 삶을 살아가며 전공을 살려서 우리 마을 공동체를 섬기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무슬림이었던 후세인 갈보란(45)씨는 지난해 이스트아프리칸 바이블칼리지 신학대학원에 진학했다. 기아대책을 통해 선교사 가정과 연결되며 예수를 영접한 그 역시 공동체의 변화를 꿈꾼다. 그는 “문명에 뒤처진 렌딜레 공동체에 기독교 정신을 심고,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바꿀 수 있도록 돕고 싶다”면서 “교회에서 우유를 붓는 전통 제사와 같은 토속신앙과 거짓 전통이 무너지고, 예수님만 따르는 순수한 신앙이 세워지길 기도한다”고 말했다. 설교 통역과 제자훈련 등을 돕고 있는 그랜트 하루구라(40)씨는 교회·학교 연합사역까지 함께하는 현지 선교사의 든든한 동역자다. 그는 “말씀을 배운 아이들이 자라 다시 교회와 학교로 돌아와 섬기는 걸 보는 게 가장 큰 보람”이라며 “공동체가 변화되는 것이 감사하다”고 말했다.
“받은 사랑 다시 전하고파”
말말로 차우레(19)군은 현지 아이들이 다니는 믿음초등학교에서 자원봉사 교사로 수학과 과학을 가르친다. 선생님을 꿈꾸는 차우레군은 현재 사범대 진학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과거엔 도움을 받던 아이로서 받은 사랑을 다시 흘려보내고 싶다”고 말했다.
나씨보 미르기찬(24)씨는 교사라는 꿈의 실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케냐 명문대인 나이로비 사범대학교에 합격한 것이다. 올해 가을학기를 준비 중인 그는 “CDP 도움이 아니었다면 학업을 마치지 못했을 것”이라며 “교복과 등록금, 심지어 후원자가 보내준 작은 선물 하나까지도 내겐 큰 힘이 됐다”고 고백했다. 현재 믿음초에서 봉사하는 그는 “아이들에게 ‘너희도 꿈을 이룰 날이 올 것’이라 말한다”며 “그들이 하나님 안에서 희망을 품는다면 그것이 감사 제목”이라고 말했다.
목회자를 꿈꾸는 청년들은 신앙을 통한 배움의 소중함을 강조했다. 우캄바 성경대 3학년생인 쿠레와 심데니와(23)씨는 언제나 교회 앞자리에 앉아 열심히 설교를 받아 적던 소년이었다. 그는 “많은 신학생이 도시 목회를 꿈꾸지만 내 마음은 여전히 코어 마을에 있다”며 “어둠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소라 아미요(26)씨 역시 말리왁 교회를 섬기며 신학을 공부 중이다. 그는 “방학마다 인도하는 유스캠프에서 말씀을 전할 때 아이들 눈빛이 반짝이는 걸 보면 가장 행복하다”며 “하나님께서 부족한 제 입술을 통해 누군가의 인생에 빛을 비추신다는 사실이 너무 벅차기에 삶 전체를 복음 전하는 일에 드리고 싶다”고 고백했다.
코어(케냐)=글·사진 김수연 기자 pro11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