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조류인플루엔자 권역별 대응체계 확립

입력 2025-09-24 18:39
경남도가 ‘경남형 차단방역 모델’ 개발해 본격 현장에 적용한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방지를 위해 ‘경남형 차단방역 모델’을 개발해 권역별 대응체계를 확립했다고 24일 밝혔다.

‘경남형 차단방역 모델’은 야생조류 방역관리, 경남형 전략지도 운영, 위험 축종 맞춤형 특별관리, 방역관리 효율화, 민관 협업 기능 강화를 5대 전략으로 구성했다.

해마다 철새가 대규모로 찾는 창원 주남저수지, 창녕 우포늪, 김해 화포천 등을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철새 도래시기에 시료채취 요원을 통해 예찰과 검사를 강화한다. 항공방제 드론과 소독차량을 총동원해 도래지 주요 도로변 및 인근 농장을 하루 3~4회 이상 집중 소독하고 AI 항원이 검출되면 탐방로 즉시 폐쇄 등 단계별 조치를 신속히 시행한다.

‘경남형 전략지도’에 따라 도내 전체 오리농가의 73%를 차지하고 타 지역과 차량 이동이 잦은 서부 경남은 농장 출입 차량에 대한 방역수칙 이행 점검과 바이러스 오염 검사를 한다. 동부 경남은 철새도래지 특성을 반영해 산란계 등 인근 농가 정밀검사와 주요 철새도래지 12곳의 축산차량 출입을 전면 통제하고 위반 시 최대 1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이와 함께 산란계와 오리 사육농장을 ’위험축종’으로 특별 관리한다. 20만수 이상 대규모 농장에 통제초소를 설치하고 고위험 농가에는 전담공무원을 지정한다. 또 민간 수의사를 방역요원으로 위촉해 예찰검사와 시료채취를 지원하고, 역학조사반에도 참여시켜 전문성을 강화한다.

정창근 경남도 동물방역과장은 “경남 실정에 맞춘 경남형 방역모델이 안정적으로 정착해 AI 발생 없는 청정 경남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