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기업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글로벌 2000’에 지난 10년 새 중국과 미국 기업이 늘어난 반면 한국 기업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2000에 포함된 한국 간판 기업들의 성장 속도도 중국 기업보다 6배 이상 뒤처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이런 내용을 담은 ‘글로벌 2000 대기업 변화로 본 한·미·중 기업 삼국지’ 보고서를 발표했다. 글로벌 2000이란 미국 경제지 포브스가 매년 시장 영향력과 재무건전성, 수익성 등을 종합해 전 세계 ‘2000대 기업’을 선정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2000에 속하는 미국 기업은 2015년 575개에서 올해 612개로 37개(6.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은 글로벌 2000 기업이 180개에서 275개로 무려 95개(52.7%) 늘었다. 반면 한국은 글로벌 2000 포함 기업 수가 2015년 66개에서 올해 62개로 오히려 감소했다.
기업의 성장 속도에서도 한국 기업들은 미·중 기업들에 크게 뒤처졌다. 대한상의가 글로벌 2000 포함 기업의 국가별 합산매출액을 비교해보니 한국 기업의 합산매출액은 2015년 1조5000억 달러에서 올해 1조7000억 달러로 10년 동안 15%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에 비해 미국 기업은 같은 기간 11조9000억 달러에서 19조5000억 달러로 63% 성장했고, 중국 기업은 4조 달러에서 7조8000억 달러로 95%나 성장했다. 한국 기업에 비해 미국 기업은 4.2배, 중국 기업은 6.3배나 성장 속도가 빠른 셈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2000 기업들의 합산매출액은 그 나라의 기업생태계 힘을 나타내는 지표”라며 “중국의 기업생태계가 신흥 강자를 배출해서 힘을 키웠다면 미국은 인공지능(AI) 등 첨단 IT를 활용한 빠른 탈바꿈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은 엔비디아(매출 성장률 2787%) 유나이티드헬스(314%) 마이크로소프트(281%) 등 첨단산업·헬스케어 기업들이 성장을 주도했다. 스톤X(금융상품 중개업) 테슬라(전기차) 우버(차량공유) 에어비앤비(숙박공유) 도어대시(음식배달) 등 다양한 신산업도 새로 이름을 올렸다.
중국 역시 알리바바(매출 성장률 1188%) BYD(1098%) 텐센트홀딩스(671%) BOE테크놀로지(393%) 등 신흥 IT 기업들이 기업 성장을 견인했다. 파워차이나 샤오미 디디글로벌 디지털차이나그룹 등 에너지·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글로벌 2000 진입 기업이 속속 나오면서 성장 속도를 높였다.
한국은 SK하이닉스(215%) KB금융그룹(162%) 하나금융그룹(106%) LG화학(67%) 등 대부분 제조업과 금융업이 성장을 이끌었다. 10년 새 글로벌 2000에 새로 이름을 올린 기업도 삼성증권 카카오뱅크 키움증권 등 금융 기업들이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