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업 사업체가 지난해에만 3만6000개 넘게 늘며 고령층 창업 열풍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이후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사업 진입이 비교적 쉬운 구조가 창업 증가를 부추긴 요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전국사업체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사업체 수는 635만3673개로 1년 전보다 10만7184개(1.7%) 증가했다. 전기·가스·증기업(3만7064개)이 전년보다 무려 33.7% 증가하며 전체 지표를 끌어올렸다. 산업 종사자 수도 21만3081명으로 1년 전보다 3만7768명(21.5%)이 늘어났다.
특히 태양광 발전업은 3만6396개 늘어나며 증가율 34.1%를 기록했다. 김혜련 통계청 경제총조사과장은 “퇴직한 고연령대의 태양광 창업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비교적 쉽게 사업체를 열 수 있는 데다 생산한 전기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지속적으로 매입해 안정적인 수입원이 보장되기 때문에 창업 유인으로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퇴직 후 충남 서산 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업을 시작한 고재요(62)씨는 “여러 노후 대책을 고민하다가 실패 위험이 적고 전문 면허나 지식이 필요 없는 태양광 사업을 선택했다”며 “은퇴 전 수준에는 미치지 않지만 매달 안정적인 소득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에 속도가 붙으면서 창업 부담이 줄어든 영향도 있다. 내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은 1조2703억원으로 올해보다 42% 늘었다. 이 중 영농형 태양광, RE100 산업단지, 햇빛·바람 연금 등 신재생에너지 금융 지원사업에 쓰일 예산은 내년 648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했다.
다만 현장에서는 아직 창업을 위한 제약이 많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씨는 “개발행위 인허가를 받을 때 지방자치단체마다 조례를 통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동의서를 받게끔 하는데, 이때 민원 해결 비용이 크게 발생해 인허가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며 “비합리적인 법률 조항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