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와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동맹’을 맺었다.
엔비디아는 오픈AI와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오픈AI에 최대 1000억 달러(약 14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로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을 사용해 오픈AI 모델을 학습·배포할 수 있는 10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만들어지게 된다. 10기가와트는 원전 10기에 해당하는 규모로 800만 가구가 소비하는 전력량과 비슷하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 프로젝트는 규모 면에서 기념비적”이라고 자평했다. 그는 “10GW는 400만~500만개 그래픽처리장치(GPU)에 해당한다”며 “이는 엔비디아가 올해 출하할 총량과 같고 작년 대비 두 배”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의 투자금은 단계적으로 제공되며 첫 100억 달러는 1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파워가 배치될 때 투입될 예정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하고 있는 것을 활용해 새로운 AI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대규모로 사람들과 기업에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기업이 함께 구축하는 AI 인프라는 내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엔비디아가 이번 거래를 통해 오픈AI의 지분을 받게 된다고 보도했다. 레퀴짓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브린 토킹턴 매니징파트너는 CNBC에 “엔비디아가 오픈AI에 투자하는 1000억 달러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이후 오픈AI가 반도체 구입 비용으로 엔비디아에게 돌려주는 돈”이라고 분석했다.
양윤선 기자 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