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세영 특파원의 여기는 베이징] 시진핑 집권 13년 더 깊어진 부패의 늪… 대학까지 ‘호랑이 사냥’

입력 2025-09-24 00:37
왼쪽부터 중국 베이징대 런위중 부총장, 장쑤성 쉬저우의과대 정쥔녠 총장, 후난성 중난임업과기대 랴오샤오핑 총장. 모두 올해 반부패 단속으로 ‘호랑이 사냥’을 당한 대학 고위 인사들이다. 바이두 캡처

명문 베이징대 최연소 부총장 조사
대학 입시비리 연루 가능성 제기
올 43번째 낙마, 최다기록 경신 전망
시진핑 ‘반부패 드라이브’ 실패 지적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국가감찰위원회는 지난 17일 중국 최고 명문대인 베이징대 당위원회 상무위원 겸 부총장 런위중(45)이 “심각한 기율 위반 및 불법 행위 혐의를 자수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베이징대 당위원회는 이날 곧바로 총장과 당위원회 서기 등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상무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런위중에 대한 조사를 확고히 지지하며 조사에 전적으로 협조하겠다고 선언했다. ‘금기 없는 전면적 반부패 캠페인에 대한 우리 당의 확고한 의지’ 등을 강조하며 “시진핑 동지를 핵심으로 하는 당 중앙위원회와 고도의 사상적·정치적·실무적 통일을 유지해야 한다”고 천명했다. 런위중의 낙마로 받은 충격과 동요가 얼마나 컸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런위중은 중국의 대입 시험인 가오카오에서 쓰촨성 문과 1위에 올라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에 입학했다. 이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로 임용돼 주요 보직을 맡으며 승승장구하다 지난해 베이징대 최연소이자 첫 바링허우(1980년대생) 부총장에 임명됐다.

그가 어떤 혐의를 받는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입시 비리 연루 가능성이 제기된다.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2018~2022년 런위중의 쓰촨성 고향 친척들과 연관된 학교에서 베이징대 합격자 수가 급증했다는 의혹이 나온 적이 있다고 전했다. 예체능 특기생 선발 과정에서 기준 미달의 입시생들에게 특혜를 줬다는 설도 있다.

중국은 최근 중앙 및 지방정부, 군부, 국유기업, 금융권, 체육계에 이어 대학에 대한 반부패 단속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달에는 장쑤성 쉬저우의과대학의 정쥔녠(59) 총장과 왕런하오(61)·쉬카이린 전 부총장이 중대한 기율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후난성 중난임업과기대학의 랴오샤오핑(63) 전 총장도 연구비 횡령과 뇌물 수수 등의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 이 대학은 지난 4월 당서기인 왕한칭(62)도 기율 위반으로 당에서 제명되고 공직에서 추방됐다.

런 부총장은 올해 들어 43번째로 낙마한 호랑이(중앙간부)다. 중국에선 전·현직 고위 관료 숙청을 ‘호랑이 사냥’, 하위직 간부 숙청을 ‘파리 사냥’, 해외로 도피한 부패 사범 처벌을 ‘여우 사냥’으로 부른다. 한국의 차관급 이상에 해당하는 ‘호랑이’는 당 중앙이 직접 임면하고 관리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3년 집권할 때부터 강력한 반부패 드라이브를 걸었다. 1·2기 10년을 재임하고 3기에 접어든 뒤에도 해마다 강도를 높이고 있다. 집권 2기 때인 2020년 18명, 2021년 25명, 2022년 32명에 이어 집권 3기 첫해인 2023년 45명, 지난해 58명으로 해마다 ‘호랑이 사냥’ 기록은 경신되고 있다. 올해도 지난해를 뛰어넘어 역대 최다 기록을 세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에 낙마한 호랑이만 모두 3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명, 2023년 같은 기간보다 8명 늘었다.

집권 1·2기 때는 시 주석이 권력 기반 강화를 위해 반부패 사정을 활용한다는 분석이 많았다. 최고위 지도자급은 건드리지 않는다는 관행을 깨고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낸 저우융캉을 숙청한 데다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 등 시 주석의 정적이나 반대파로 간주되던 이들이 주로 타깃이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집권 3기 들어서면서 시 주석의 측근들도 낙마하기 시작했다. 그중 시 주석의 군부 내 최측근으로 분류되던 중앙군사위 허웨이둥 부주석과 먀오화 위원 겸 정치공작부 주임의 낙마는 시 주석 권력이상설까지 나돌게 할 정도로 충격파가 컸다.

시 주석은 지난 3일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등을 통해 건재를 과시했다. 그의 권력에 흔들림이 없다면 강력한 반부패 드라이브가 뜻하는 것은 측근들도 숙청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중국 사회의 부패가 뿌리 깊다는 의미다.

시 주석은 지난해 1월 제19기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감히 부패하지 못하고, 부패가 불가능하고, 부패하고 싶지도 않게 한다”는 뜻의 3불 원칙을 천명했다. 반부패 드라이브를 더 강력하게 걸겠다는 뜻이다. 올해 들어서도 내수경기 침체 부작용을 무릅쓰고 공직자들에게 금주령을 내리는 극약처방까지 내렸다.

문제는 최근 적발되는 부정부패가 대부분 시 주석 집권 후에 발생했다는 점이다. 시 주석이 ‘반부패’ 목소리를 높여왔지만 실제 부패 방지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앤드류 웨드먼 교수는 지난해 BBC와의 인터뷰에서 “10년이 넘는 단속과 호랑이 사냥 행진이 중국 대중의 냉소주의를 더 부추겼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산당 일당독재 체제가 갖는 근본적 한계도 작용한다. 중국에선 삼권분립을 인정하지 않고 독립적인 언론과 시민사회도 없기 때문에 그들만의 ‘이권 카르텔’이 형성되기 쉽고 견제와 감시가 어렵다. 캐나다 몬트리올의 지정학 컨설팅 기업 세르시우스의 최고경영자 알렉스 파예트는 “공산당이 국가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기구인 이상 중국은 사회적 부정부패를 억제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