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의 개인형 연금잔고가 22조2000억원을 돌파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삼성증권의 개인형 연금 잔고는 지난해 말 17조1000억원대에서 지난 9월 11일 기준 22조2000억원을 넘어서며 30% 상승했다. 같은 기간 총 연금 잔고도 21조2000억원에서 26조3000억원으로 23.8% 증가했다. 개인형 연금 중 연금저축,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잔고는 각 34.6%, 27.4%, 26.9%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특히 40~50대 투자자의 개인형 연금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10조9000억원 수준이었던 이들 고객의 잔고는 지난 9월 11일 기준 14조7000억원대로 약 34.8% 증가했다. 여러 상품 중 상장지수펀드(ETF)가 중장년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상품별 잔고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54%)를 기록했다. 퇴직연금 전체(DB+DC+IRP)의 잔고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19.6% 증가했다.
삼성증권은 가입자 중심의 다양한 연금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우선 퇴직연금 최초로 2021년 운용관리와 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인 ‘다이렉트IRP’로 퇴직연금 수수료 체계를 개선했다. 가입자의 편의를 대폭 높이기 위해 가입 서류 작성과 발송이 필요 없는 ‘3분 연금’ 서비스(개인정보 제공 및 약관 등 확인 시간 제외)를 선보이기도 했다.
삼성증권 공식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인 ‘엠팝(mPOP)’을 통해서 빠르고 편안하게 연금을 관리할 수 있는 ‘연금 S톡’, ‘로보 일임’, ‘ETF 모으기’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또 업계 최초로 별도의 연금센터를 신설해 서울 수원 대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연금센터에서는 프라이빗뱅커(PB) 경력 10년 이상의 숙련된 인력이 전문화된 연금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성주 삼성증권 연금본부장은 “퇴직연금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수한 연금 관리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의 든든한 연금파트너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