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호(號)가 출범한 지 3주가 지났지만 당대표의 최측근 자리 중 하나인 지명직 최고위원 인선이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다. 장 대표 측은 친정 체제로만 당을 운영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적임자가 없다”는 토로도 나오는 상황이다.
18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대표가 지명 권한을 갖는 주요 당직인 지명직 최고위원과 여의도연구원장이 공석 상태다. 앞선 지도부에서 2~3주 내 주요 당직을 마무리지었던 것과 비교해 이례적으로 늦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통상 지명직 최고위원은 당대표의 ‘오른팔’ 역할을 해 왔다. 당헌에 따르면 당무 전반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최고위원회의 최고위원의 경우 선출직 5인과 지명직 1인으로 구성된다. 지명직 최고위원은 선출직 최고위원과 같은 권한을 가지지만 유일하게 당대표가 직접 임명하기 때문에 대표의 색깔이 드러나는 핵심 우군으로 평가받는다.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지금까지 지명직 최고위원은 대표와 비슷한 목소리를 내며 대표를 보호하는 호위무사처럼 활용돼온 측면이 있었다”며 “대표가 그런 지명직 최고위원의 역할에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 대표는 친분보다 인지도와 전문성을 기준으로 당 안팎에서 폭넓게 인물을 물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의도연구원장 또한 당대표와 운명을 같이하며 대표의 ‘핵심 측근’ 역할을 해 왔다. 이에 대해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단순한 인선보다 여의도연구원의 체질 개선이 급선무”라며 “구조조정을 먼저 한 뒤 필요한 기능에 맞는 인물을 임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직 인선이 늦어지는 이유에는 인물난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자칫 강성 위주의 지도체제만 더 공고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의원은 “친장(친장동혁)계가 확실히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장 대표도 중도 확장과 강성 지지층 사이에서 쉽게 노선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적임자를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제9회 지방선거 총괄기획단을 띄우고 나경원 의원을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정점식 의원과 정희용 사무총장이 각각 위원장을 맡은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와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도 출범했다. 당 관계자는 선출직 평가 TF에 대해 “의원 평가 자료를 축적하는 기능을 할 것”이라며 “의원뿐 아니라 외부 전문가를 포함시켜 평가 기준을 만들고, 이를 당헌·당규에도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