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대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 요구에) 동의했다면 나는 탄핵당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측이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펀드 등과 관련해 무리한 요구를 했고, 이 대통령이 이를 거절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18일 공개된 미국 시사잡지 ‘타임’(사진) 인터뷰에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인 대안을 요청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관세협상과 관련한 미국의 요구가 우리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를 넘어선 과도한 요구였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이번 인터뷰는 한·미 정상회담 일주일 뒤인 지난 3일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탈피’ 입장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와 미국 중심의 공급망 속에서 미국과 함께할 것이지만, 중국을 적대시하지 않도록 중국과의 관계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그렇지 않으면 한국이 두 진영 간 갈등의 최전선이 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적절한 수준에서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해야 하며, 서방 세계도 이러한 측면을 이해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공고한 한·미동맹에 기반을 둔 정책을 펴겠지만 중국과 절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중단·감축·비핵화’라는 3단계 원칙을 재확인했다. 그러면서도 ‘제재 완화’를 북한에 보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에 핵무기 개발을 그냥 중단하라고 하면 북한이 핵 개발을 중단할 것인가”라며 “현재와 같은 압박을 계속한다면 북한은 더 많은 핵폭탄을 계속 생산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분적인 제재 완화 또는 해제를 위한 협상을 제안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나와 같은 입장일 것으로 믿는다”고 부연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온 트럼프 대통령의 주한미군 기지 부지 소유권 이전 발언에 대해서는 “농담이었던 것 같다”며 “미국이 토지를 소유한다면 재산세를 내야 하는데, 재산세 면제는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최승욱 윤예솔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