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기업들이 고용을 줄이면서 노동시장의 성장도 멈췄다는 분석이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현지시간) “관세 정책의 영향을 받는 미국 내 산업군에서 일자리 감축이 시작됐다”며 “최근 수개월간 제조업과 도소매업,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고용이 크게 줄었다”고 전했다. 미국 내 기업들이 관세 정책으로 인한 비용 증가와 경기 불확실성 탓에 사업 확장 계획을 보류하거나 축소하면서 신규 고용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하이오주 애크런의 악기부품 제조업체 어스퀘이커디바이시즈의 줄리 로빈스 최고경영자(CEO)는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서 기존에 없던 세금을 부과받았다”며 “정부 정책이 불안정하고 비용 예측이 불가능하면 기업은 성장할 수도, 일자리를 늘릴 수도 없다”고 말했다.
2020년대 고물가·고금리에도 다른 국가들보다 탄탄했던 미국의 노동시장은 올해 하반기부터 성장 둔화의 경고음을 내기 시작했다. 지난 5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2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금융정보업체 다우존스의 전문가 전망치인 7만5000명을 크게 밑돈 수치다.
제조업에선 지난달에만 1만2000개, 올해 누적으로 7만8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산업의 핵심인 석유·천연가스 채굴 등 에너지 산업 일자리는 지난달 6000개나 감소했다. 쉐브론은 8000명, 코노코필립스는 3250명을 추가로 감원할 계획을 밝히면서 에너지 산업의 구조조정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