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외국이나 외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를 겁주거나 위축시키고 싶지 않다”며 해외 전문 인력들이 미국에 들어오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미 이민 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급습해 근로자들을 체포·구금한 사태 이후 미국의 비자 정책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자 해외 전문 인력 수용을 강조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서 “우리는 그들(외국 기업)을 환영하며 그들의 직원들도 환영한다”며 “우리는 그들로부터 배우고 머지않은 미래에 그들의 게임에서 그들보다 더 잘할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외국 기업들이 극도로 복잡한 제품과 기계를 제조하면서 막대한 투자와 함께 미국에 진출할 때 나는 그들이 일정 기간 전문 인력을 데려와 우리 국민에게 이런 독특하고 복잡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고 훈련시키기를 원한다”면서 “이는 그들이 시간이 지나 본국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우리가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모든 대규모 투자는 애초에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며 “반도체, 컴퓨터, 선박, 열차 등 우리가 다른 나라로부터 제조법을 배우거나 재학습해야 하는 수많은 제품이 그렇다”고 강조했다.
강경한 이민 단속과 관세 정책을 내세운 트럼프가 외국 기업과 인력에 대한 환영 입장을 길게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한국인 구금 사태로 한국뿐 아니라 미국 내에서도 투자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트럼프는 특히 “과거 하루에 1척씩 배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1년에 1척도 만들지 못한다”며 조선업을 예로 들기도 했다. 한국은 미국에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제안한 상태다.
트럼프의 발언은 전날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을 만나 구금 사태에 대한 유감을 표명한 이후 나왔다. 트럼프의 발언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이 구금 사태의 책임을 한국 측에 돌린 것과도 결이 다른 반응이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