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시·군·구, 2042년 경제활동인구 1만명도 안될 것”

입력 2025-09-15 00:15 수정 2025-09-15 02:03
연합뉴스

경제활동인구 1만명 이하 시군구가 2022년 0곳에서 2042년 15곳까지 늘어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경제활동인구 30만명 이상 시군구는 이 기간 18곳에서 21곳으로 늘어 지역별 격차가 심화할 전망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선 장년과 여성 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것보다 청년의 대도시 집중을 줄이고 장년의 중소도시로의 이동을 늘리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정종우 과장과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14일 공동 발표한 ‘인구 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22~2042년 시군구별 경제활동인구의 지역별 격차는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갖춘 이들로 취업·실업자를 포함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2042년 시군구별 경제활동인구 쏠림이 심화되면서 지역별 격차가 커진다. 전체 226개 시군구 중 해당 기간 경제활동인구가 30% 이상 감소하는 시군구는 105곳, 50% 이상 감소하는 지역은 31곳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31곳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 결과 시군구별 경제활동인구 상위 10%와 하위 10%의 비율은 해당 기간 13.4에서 26.4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대다수 시군구를 중심으로 경제활동인구가 대폭 줄어든 반면 수도권과 충청도 북부 시군구는 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는 곳이 많았다.

경제활동인구 격차가 심화하지만 출산율 제고, 장년·여성 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출산 아동이 노동시장에 진입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데다 당분간 노동 총량 부족보다 부문·지역 간 불균형이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 결과 경제활동참가율 제고는 지역 간 경제활동인구 격차를 좁히는 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보고서는 대신 청년층의 대도시 이동을 억제하고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늘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렸다. 저자들은 “지역 간 청년 인구 이동 차이를 완화하고 장년 인구 이동 차이를 강화하는 것이 앞으로 시군구 경제활동인구 불균형을 완화하는 방안”이라며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막는 것이 어렵다면 장년 인구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및 농촌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강화하는 정책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