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한국이 불참하면서 반쪽짜리로 치러진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에선 이번에도 한국인에 대한 강제노역 사실은 언급되지 않았다. 정부는 다만 미래지향적 관계를 언급하며 유감을 표명했던 지난해보다 대응 수위를 조절했다.
외교부는 지난 13일 일본 단독으로 치러진 사도광산 추도식과 관련해 “그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춰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조선인 강제 노동 언급과 관련해 일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이 불참 원인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어 “올해 만족스러운 결론에 이르지 못했지만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기본 입장하에서 상호 신뢰와 이해를 쌓으면서 여건을 갖춰 나갈 때 과거사 문제를 포함한 협력의 질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추도식 때 외교부는 “주한 일본대사관을 접촉해 추도식과 관련한 한·일 협의 과정에서 일본이 보여준 태도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은 2023년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추도식 개최를 약속했고, 한·일 공동 참석에 합의했다. 그러나 한·일 공동 추도식은 지난해부터 2년 연속 이뤄지지 못했다.
일본 정부 대표는 올해도 추도사에서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들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토지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고만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