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임계치… 내년 고리 95% 수준

입력 2025-09-14 19:07
고리 원전. 연합뉴스

원전을 가동하면서 발생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내년부터 한계에 달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14일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리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 포화율은 올해 93.5%로 내년 95.1%까지 오를 전망이다. 한빛원전은 올해 85.3%에서 2029년 95.1%로, 월성 중수로는 현재 84.6%에서 2033년 98.6%까지 포화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저장시설이 포화하면 원전 가동이 어려워진다.

현재 국내 원전은 사용후핵연료를 영구 처분할 시설이 없어 각 발전소 내부에 물을 이용해 냉각하는 습식 저장조(수조)를 운영하고 있다. 한수원은 공기로 냉각해 저장할 수 있는 건식 저장시설을 짓고 사용후핵연료를 옮기는 방식으로 원전 가동 기간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고리원전의 경우 사용후핵연료의 저장 간격을 줄이는 조밀 저장대를 설치하고, 2031년에 건식 저장시설을 통해 포화율을 68.6%까지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빛원전도 2030년 건식 저장시설을 운영할 경우 포화율이 65.3%로, 월성 중수로도 2034년 건식 시설 증설 시 87.5%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원전 내 건식 저장시설을 운영하는 데는 지역주민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달 말 시행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건식 저장시설 등의 설치는 설명회·토론회 등을 통한 주민 의견 수렴과 국무총리 소속 행정위원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