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으로 조성된 협치 분위기가 여당의 특검법 개정안 합의 파기 이후 다시 얼어붙고 있다. 여당은 야당 원내대표의 막말을 문제 삼으며 공세를 강화했고, 야당도 장외 집회를 열며 정부·여당을 상대로 여론전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은 12일 국회 의안과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대한 징계요구안을 제출했다. 민주당은 의원직 제명까지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정청래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송 원내대표의 망언은 민주당에서 결코 좌시하거나 유야무야 끝내지 않겠다. 하루빨리 국민 앞에 솔직하고 진솔하게 사과하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송 원내대표는 지난 9일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노상원 수첩이 현실로 성공했다면 이 대통령도 저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언급할 당시 “제발 그리됐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응수한 당사자로 지목됐다.
반면 국민의힘은 특검법 수정안 합의 파기를 기점으로 대여 공세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의원 및 전국 당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야당 탄압 독재정치 규탄대회’로 장외 농성을 개시한 데 이어 용산 대통령실로 이동해 ‘정치보복 불법특검 규탄대회’를 열고 특검법 개정안에 대한 재의요구 건의서를 전달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3개 특검법에 재의요구권을 행사하고 특별재판부 설치를 당장 멈추라”며 “그러지 않는다면 이 대통령은 국민의힘을 지지했던 42%의 대한민국 국민을 버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불법 비상계엄과 내란은 용납할 수 없는 법치파괴 행위”라면서도 “열린 자세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 대통령께 전달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대여 공세 수위 강화와 동시에 “민생경제협의체를 조속히 가동하자”고도 제안했다. 협의체는 지난 8일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담 자리에서 장 대표가 먼저 제안해 합의에 이른 사안이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제안에 응하지 않을 경우 이를 정부·여당을 압박할 새로운 지렛대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민생 의제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도 담겼다.
한편 전날 특검법 개정 합의 파기 여파로 인한 여당 내 투톱 갈등의 여진은 이날도 이어졌다. 정 대표가 이날 회의에서 “우리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생사고락을 함께한 전우이자 동지”라며 “당·정·대가 ‘원팀 원보이스’로 완전한 내란 종식과 이재명정부의 성공을 위해 함께 뛰자”고 발언했지만, 김병기 원내대표는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았다. 회의가 끝나자 다른 의원들과 인사를 나누지 않고 가장 먼저 회의장을 떠났다. 정 대표가 전날 김 원내대표에게 만찬 회동을 제안했지만 김 원내대표는 이를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판 이형민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