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지금 (신규 원전) 시작해도 10년 지나 지을까 말까인데,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며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신속한 전력 공급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탈원전은 아니라며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선 원전도 함께 사용하는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원전을 짓는 데는 최하 15년이 걸린다. 지을 데도 없다”며 “당장 AI와 데이터센터에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고 말했다. 이어 “풍력, 태양광에 집중할 것이고 대대적으로 인프라, 전력망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자력계는 ‘제2의 탈원전 정책’이 시작됐다고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 대통령이 원전보다 재생에너지가 효율적이라는 점을 강조한 만큼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서 원전 비중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도 지난 9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2월 확정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신규 건설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했었다. 이에 한국원자력학회는 “원전 건설·운영을 환경 규제 중심 부처에 맡기는 것은 필연적으로 원자력산업의 위축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서 쓴다는 에너지 믹스 정책은 변한 게 없다”며 “원전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에 대해선 “에너지 차관과 환경 담당 차관이 한 부서 안에서 갑론을박해서 결정하는 것과 독립 부서가 돼서 서로 말도 안 하는 것 중 어떤 게 낫겠는가”라며 “싸우라고 그렇게 뽑은 것이다. 이해해줬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정부조직 개편으로 국무총리 권한이 커진다는 지적에 관해선 “원래 각 부처는 총리가 총괄하는 것”이라며 “기재부에서 예산처를 떼서 총리 산하로 만드나 총리 지휘를 받는 기재부 안에 예산실이 있으나 무슨 차이가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