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직장인이 나만의 ‘인공지능(AI) 비서’와 함께 일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AI가 해외 바이어와의 회의 내용을 실시간 통역해주고 자리를 비운 동안에는 고객·동료 문의에 대신 답변까지 해주는 것이다.
삼성SDS는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연례 고객 초청 행사 ‘리얼 서밋 2025’를 열고 “‘AI 풀스택’ 서비스로 기업 업무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AI 풀스택 서비스는 기업의 AI 전환(AX)을 위한 인프라, 컨설팅, 플랫폼, 솔루션 등 모든 구성요소를 한 번에 제공하는 통합 지원 체계를 뜻한다.
이준희(사진) 삼성SDS 대표이사는 AI가 ‘보조도구’를 넘어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비서’로 진화했음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AI 에이전트(비서)는 단 한 번의 요청만으로 개인 일정, 선호도 등을 분석해 최적의 출장 항공편을 찾아 예약까지 완료할 수 있다”며 “AI 에이전트가 도입되면 기업은 효율성·속도에서 전례 없는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기업 전반의 혁신을 위해서는 AI·클라우드에 대한 지식과 기술력, 보안 역량이 필수적”이라며 “삼성SDS는 AI 풀스택을 제공하는 최고의 정보기술(IT)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삼성SDS만의 강점으로는 개별 기업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내세웠다. 각 기업이 원하는 거대언어모델(LLM), 업무 처리 기능, 사규 등 세부 조건에 맞춰 커스텀한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해구 삼성SDS 솔루션 사업부장(부사장)은 “오랜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각 기업에 대한 이해를 쌓아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며 “기업이 필요로 하는 모든 기술 기반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AI 풀스택 서비스에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하는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와 생성형 AI 서비스 ‘브리티 코파일럿’, 업무 과정 자동화를 위한 ‘브리티 오토메이션’ 등이 사용된다. 그중 브리티 코파일럿은 영상 회의 중 다국어 실시간 통번역, 주요 일정 및 업무 브리핑, 업무 맥락에 맞는 정보 큐레이팅, 부재 중 업무 문의 자동 답변, 음성 명령 기반의 업무 처리 등 다양한 에이전트 기능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삼성SDS는 정부가 재공모 중인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참여 뜻도 시사했다. 이 대표는 “삼성SDS가 정부의 ‘AI 3강’ 목표 달성에 기여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공모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양윤선 기자 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