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쉬었음 청년’ 발굴부터 구직·재직자 지원까지 아우르는 청년 일자리 대책을 내놨다. 장기 미취업 청년, 구직 청년, 재직 청년으로 구분해 유형별 맞춤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10일 범부처 합동으로 ‘청년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발표했다. 대졸 청년들에 더해 고졸, 군 장병 등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해 쉬었음 청년 발굴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쉬었음 청년은 특별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이들로, 지난달 기준 30대 쉬었음 인구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런 장기 미취업 청년들에 대해 사회생활의 두려움을 해소하고 점진적 적응을 유도하는 포용적 일경험을 제공한다.
구직 청년 5만명에게는 인공지능(AI) 전문인력 양성 훈련을 제공한다. 이 훈련을 수료한 청년에게는 현장 직무 경험까지 축적할 수 있는 2000명 규모의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노동부는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채용·운영 중인 인턴·일경험·훈련·교육 등에 청년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협약도 맺는다. 정부는 근로능력이 있지만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일경험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청년고용촉진특별법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기업에서는 예산 사업으로만 진행 중인 일경험 사업 정책의 지속 여부에 의구심을 갖곤 한다. 근거법이 마련된다면 기업 참여를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부는 구직 기간 중 생계 부담을 덜도록 지원하는 구직촉진수당을 올해 50만원에서 내년 60만원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2027년을 목표로 자발적 이직자들에게도 생애 한 차례 구직급여 지급을 추진한다. 첫 직장이 불합리하거나 경력과 맞지 않는 경우 재도전할 수 있게 돕는다는 취지다. 재직 청년을 위해서는 직장에서 체불·괴롭힘 등의 어려움을 만났을 때 편하게 상담할 수 있는 24시간 AI 노동법 상담을 운영한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예비 노동자들이 막막함 속에 포기하지 않도록 정부가 든든한 ‘일자리 멘토’가 되겠다”고 말했다.
세종=황민혁 기자 okjs@kmib.co.kr